논문 상세보기

PVA-g-PAA 가지형 공중합체 기반 촉진수송 분리막 KCI 등재

Facilitated Transport Membranes Based on PVA-g-PAA Graft Copolymer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화석 연료를 사용할 때, 불완전 연소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소 후 기체 분리는 불완전 연소 기체의 재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산화탄소 기체 분리용 촉진수송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poly(vinyl alcohol) (PVA) 주사슬 기반으로 acrylic acid (AA) 단량체를 자유 라디칼 중합법으로 PVA-g-PAA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공중합체를 일산화탄소 활용에 적용하는 사례는 처음이며, 제조한 공중합체는 AgBF4 염과 HBF4를 혼합하여 기체 분리막에 적용하였다. 공중합체 합성 결과는 FT-I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공중합체와 AgBF4, HBF4의 상호작용은 TEM를 통해 분석하였다. 염의 첨가를 통해 일산화탄소 기체의 촉진수송 채널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산화탄소 분리막 분야에 촉진수송 및 그래프팅 방법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It is inevitable to generate incomplete combustion gases when mankind utilizes fossil fuels. From this point of view, gas separation process of combustion ga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CO ga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facilitated transport polymeric composite membrane for CO separation using AgBF4 and HBF4. The copolymer was synthesized via free-radical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 (PVA) as a main chain and acrylic acid (AA) monomer as a side chain. The polymer synthesis was confirmed by FT-IR and the interactions of graft copolymer with AgBF4, and HBF4 were characterized by TEM. PVA-g-PAA graft copolymer membranes showed good channels for facilitated CO transport.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 separation membrane area via combination of grafting and facilitated transport.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Section
    2.1. Materials
    2.2. Polymerization of PVA-g-PAA graft copolymer
    2.3. Fabrication of membranes
    2.4. Characterization
    2.5. Gas separation properties
3. Result and Discussion
4.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박민수(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Min Su Park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강미소(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Miso Kang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박보령(한국화학연구원 C1 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Bo Ryoung Park (C1 gas & Carbon Convergent Research Center, Chemical & Process Technolo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김정훈(한국화학연구원 C1 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Jeong-Hoon Kim (C1 gas & Carbon Convergent Research Center, Chemical & Process Technology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 김종학(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ong Hak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