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한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시공간 분포 분석 및 생태위해성 평가 KCI 등재

Long-term distribution trend analysi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based on National Fish Database, and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전국자연환경조사 어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담수 생태계에 도입된 배스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분석을 통해 핫스팟 지역을 분석하였다. 위해성 평가를 통해 배스의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여 수생태계 생물 다양성 교란에 대한 영향을 재고하였다. 분포 분석 결과, 제주도 지역을 포함하여 한강권역과 낙동강권역, 금강권역, 영산강·섬진강권역 전체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권역에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주도 지역을 제외한 영산강·섬진강권역에서 비교적 낮은 출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스의 공간적 군집 밀도가 높은 지역으로는 낙동강권역의 낙동강수계가 선정되었으며, 반대로 낮은 지역으로는 한강권역과 금강권역의 인접한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대부분의 담수하천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배스의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31점의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담수 생태계에 정착한 것으로 파악되는 생태계교란종인 배스로부터 실질적인 관리 우선지역을 도출하여 담수 생태계 다양성 보전을 위한 과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ish, we determined the population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Micropterus salmoides, which is a translocated species into the aquatic ecosystem of Korea. .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this species was determined by performing an optimized hot spot analysis. After determining potential invasiveness and risk assessment, we measured the disturbance of biodiversity in the aquatic ecosystem. The result of distribu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opulation of M. salmoides was concentrated in the major basins of Han river,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Yeongsan-Seomjin river, including the Jeju island. In particular, Nakdong river basin showed the highest appearance rate. On the contrary, Yeongsan-Seomjin river basin showed the lowest appearance rate. The Nakdong river and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the areas with the high spatial concentration of M. salmoides. On the other hand, only Han river basin and Geum river basin had the lowest spatial concentration. The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FISK) was used to assess M. salmoides, which inhabited a broad region of aquatic ecosystem: the assessment score was 31.0, indicating its ‘highly invasive’ nature. Our study aims to encourage research that improves the biodiversity and the conservation of M. salmoides in a priority are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담수어류 분포
    2. 위해성 평가
결과 및 고찰
    1. 담수어류 및 배스 분포 현황
    2. 서식지 핫스팟 집중도
    3. 위해성 평가
    4. 생태계교란종 관리 방안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정은(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Jeong Eun Kim (Department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안광국(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Kwang-Guk An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