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하는 노인들의 우울감 변화에 관한 분석 - 한국무용 참여 노인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A sense of depression Changes of the Ag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인 한국무용 참여가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문제와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노인의 보다 나은 삶의 질에 관련된 노인여가복지정책과 한국무용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한국무용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우울감 변화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과 한국무용을 하기 전과 후의 우울감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한국무용 참여시간이 길수록,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의 변화 정도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무용의 참여빈도가 많아질수록, 참여기간이 길수록,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노인의 우울감 변화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how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ffects a sense of depression change of the ol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aged, and to enjoy the rest of their life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revital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the objectives, I reviewed theoretically on a sense of depression change of the old who have performed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For the analysis of a sense of depression of the old, I set up depression by futility, worry, no value, self-contempt, delusion. First of all, I set up some hypotheses from the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influe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n a sense of depression change of the old, examined hypotheses on the basis of collected data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 with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t-test, ANOVA, Regression, etc. Some suggestions from the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The longer seniors participate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further their depression may deepen. It is needed to allot appropriate time for participa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o mitigate deepening depression.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Korean traditional dance because the more satisfaction level of Korean dance, the lowe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유주희(경복대학교 복지행정학과/노인복지연구소) | Yu Juhee (Dept. of Welfare & Public Administration, Kyungbo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