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977년 이후 박생광 작품에 나타난 시대정신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Spirit of the Times Appearing in the Works of Park SaengKwang after 1977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1970년대 후반 동양화는 일군의 전위적인 작가들과 화단에 진입하기 시작한 신진작가들에 의해 시대정신에 입각한 새로운 전통회화를 수립하기 위한 혁신적인 미술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술계는 동양화라는 명칭을 한국화로 개칭하고 일제강점기에 유입된 일본 화풍의 배격과 전통 채색기법에 기 반을 둔 새로운 채색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시도했다. 이는 1980년대 한국 사회에 불어 닥친 일본 제국주의의 잔재를 청산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정립시켜 새로운 국가를 수립하자는 국학운동과 궤를 같이하는 미술운동이었다. 이러할 때 박생광은 1977년 일본에서의 작품활동을 끝내고 귀국하여 그동안 연구해온 민족 정서가 충만한 새로운 채색화를 시도했다. 일제강점기 이후 맥이 끊어진 전통 채색기법과 색채를 시대 감각에 맞게 복원하고 작품 속에 민족 정서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사회 전체가 서구 문화에 경도 되어 잊혀 가던 전통 민속 그림과 종교화에서 오히려 모티브를 찾아 작품을 제작하였다. 박생광의 이러한 시도는 당시에 선진 화풍으로 인식된 서양화에 비해 시대정신과 감각이 사회와 이질적으로 멀어지던 동양화를 개혁하여 미술계와 일반 대중들에게 새로운 한국화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한국의 전통미감이 서려 있는 1977년 이후 작품들은 미술사적으로 한국 채색화의 모범으로 인정받았으며 세계로부터도 아시아 미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 다고 평가받았다. 1980년대 한국 사회는 군부 집권세력의 타도와 민주주의 건설이라는 대명제를 이루기 위한 민중의 궐기로 매우 혼란스러웠다. 박생광이 1977년부터 1985년에 제작한 여러 유형의 작품 들을 살펴보면 이러한 시대정신을 내포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 재한다. 이 작품들은 민주화 운동가들이 제작한 걸개그림과는 결은 다르지만, 순수회화를 지향하는 작가로서 시대의 아픔을 같이하고 기록으로 남기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An innovative art movement took place in the late 1970s in which a group of avant-garde artists and rising artists tried to establish a new order of traditional painting based on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process, the art world changed the name of Oriental art into Korean art and tried various experiments in order to reject Japanese style which had entered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reate a new style of color painting based on traditional coloring method. The art movement was similar to the Guhak Movement which occurred in the Korean society during the 1980s aiming to establish a new nation by clearing away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promoting national identity. At that time, Park SaengKwang returned to Korea in 1977 after working in Japan and attempted a new color painting filled with national emotion that he had researched until then. He restored the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 and colors that had been cut off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ried to reflect national emotion in his works. He found motifs in the traditional folk painting and religious paintings that were being forgotten throughout the society due to the popular Western culture. Such an attempt of Park SaengKwang reformed the Oriental painting, of which the spirit of the times and sense became distant from the society in comparison to the Wester painting which was being recognized as an advanced painting style, accordingly to the spirit of the times, and showed a new potential of the Korean painting to the art work and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his works produced after 1977 with a traditional sense of Korean beauty were acknowledged as an example of Korean color painting in the history of art and also they were evaluated to have showed the potential of the Asia art from many countries. During the 1980s, the Korean society was in turmoil by demonstrations of the people who wanted to end military dictatorship and realize a democratic nation. In various types works of Park SaengKwang produced them from 1977 to 1985, there are many works which show the spirit of the times. Though the woks were different from hanging pictures that were produced by the leaders of pro-democracy movement, it can be said that Park SaengKwang played a great role as a painter of the nation as a contemporary artist aiming at pure painting with historical awareness to keep the records of the times.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 목적과 선행 연구
Ⅲ. 1980년대 박생광 화풍의 유형
Ⅳ. 한국 전통회화 요소의 현대적 해석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
  • 배정하(경기대학교 예술체육대학 한국화전공) | Pai Jeongha (Department of Korean Painting, College of Arts and Sports, Kyu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