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성 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KCI 등재

Geo-educational Values of the Jebudo Geosite in the Hwaseong Geopark,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최근 화성시의 국가지질공원 인증 추진을 위해 10개의 지질명소가 개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제부도 지질명소는 다양한 지질·지형(경관)·생태유산이 분포하여 고정리, 우음도 지질명소와 함께 수도권 남부의 새로운 지구과학 교육 장소로 개발 잠재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성지질공원 제부도 지질명소의 야외조사를 통해 지질유산의 특징을 기재 하고, 화성지질공원 내 다른 지질명소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지질교육 명소로서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 공원 및 지질명소에서의 현장교육이 현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 중심 교육에 실질적으로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제부도 지질명소에 적용해 제시하였다.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규암, 편암, 천매암 등 다양한 변성암류가 분포하며, 쇄설성암맥, 석영맥, 단층, 절리, 엽리, 편리 등의 지질구조들도 함께 관찰되어 지질다양성이 풍부하다. 또한, 해안가를 따라서는 역빈과 사빈, 해안사구, 갯벌 등 해안 퇴적지형과 연흔 등의 퇴적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해식절벽, 해식동굴, 시스택 등의 해안침식지형과 함께 바다갈라짐 등 다양한 해안지형을 관찰할 수 있다. 제부도 지질명소는 기존에 현장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화성지질공원의 고정리 공룡알화석산지 및 우음도 지질명소와 지질 및 지형학적으로 차별점을 가지므로 새로운 지질교육 현장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제부도 지질명소에는 갯벌체험장과 같은 지질교육 및 지질관광 연계 콘텐츠가 풍부하고, 해안산책로, 전망대와 같은 탐방인프라 또한 잘 조성되어 있어 다채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기대된다. 더 나아가 각 지질명소별 특성을 중심으로 최적 화된 지질공원 교육을 수행함으로써 1) 학교에서 지질공원으로 학습 공간의 확장, 2) 구체적인 내용 요소의 이해도 향상과 핵심개념 사이의 연계, 3) 지구시스템 전반으로 교육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어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사고력, 탐구력,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질공원 교육의 주체로 참여하는 경험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및 참여와 평생학습능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en geosites have been considered in Hwaseong for endorsement as national geoparks, including the Jebudo,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great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new geoscience educational site because it has geological, geographical (landscape), and ecolog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we described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 surveys in the Jebudo geosite. We evaluated its potential as a geo-education site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geosites in Hwaseong Geopark. In addition, we reviewed the practical effect of field education at geosites on the essential concepts and critical competence-oriented education emphasized in the current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Jebudo Geosite is geologically diverse, with various metamorphic rocks belonging to the Precambrian Seosan Group, such as quartzite, schist, and phyllite.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such as clastic dikes, faults, joints, foliation, and schistosity have also been recorded. Moreover, coastal geological features have been observed, including depositional landforms (gravel and sand beaches, dunes, and mudflats), sedimentary structures (ripples), erosional landforms (sea cliffs, sea caves, and sea stacks), and sea parting. The Jebudo geosite has considerable value as a new geo-education site with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distinction from the Gojeongri Dinosaur Egg Fossils and Ueumdo geosites. The Jebudo geosite also has opportunities for geo-education and geo-tourism, such as mudfla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s, such as coastal trails and viewing points. This geosite can help develop diverse geo-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key competencies in the science curriculum, such as critical thinking, inquiry, and problem-solving. Furthermore, by conducting optimized geo-educ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osite, the following can be established: (1) the expansion of learning space from school to geopark, (2)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specific content elements and linkage between essential concepts, and (3)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scope throughout the earth system. There will be positive impacts o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skills through geopark educ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지역
제부도 지질명소 내 지질유산의 기재
    JB1 제부도 바닷길
    JB2 제부도 갯벌
    JB3 사빈과 연흔
    JB4 매바위(시스택)
    JB5 제부도 갯벌체험장
    JB6 해안사구
    JB7 퇴적형 쇄설성암맥
    JB8 규암
    JB9 석영맥
    JB10 차별침식 지형
    JB11서해바다 전망
    JB12 단층과 파쇄대
    JB13 편마암 야외박물관
    JB14 편암과 천매암
토의 및 결언
    제부도 지질명소의 지질교육적 가치
    과학과 교육과정 과정에서 지질공원 교육의 역할
References
저자
  • 하수진(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Sujin Ha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채용운(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Yong-Un Cha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강희철(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Hee-Cheol Kang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종선(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Jong-Sun Kim (Korea National Park Resera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박정웅(서울 숭문고등학교) | Jong-Sun Kim (Soong-Moon High School)
  • 신승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Seungwon Shin (Geologica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 임현수(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Hyoun Soo L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조형성(경상국립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Hyeongseong Cho (Department of Ge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Natur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