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크리아빈의 ‘어두운 불꽃’에 나타난 불의 상징: 러시아 상징주의의 음악적 수용에 따른 분석적 접근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0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스크리아빈(Alexander N. Scriabin, 1872-1915)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로 이어진 러시아 은세기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 노출된 작곡가로 이 시기의 문화, 예술 전반을 주도한 사조가 바로 러시아 상징주의이다. 이 연구는 스크리아빈의 ‘어두운 불꽃’(Op. 73, No. 2)에 관한 분석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 곡에 나타난 불의 상징적 의미와 음악적 의미들을 러시아 상징주의 수용의 관점에서부터 찾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첫째 러시아 상징주의 안에서 스크리아빈 음악에 내재한 불의 의미에 대해 유추해보고 둘째 이를 그의 음악적 배경과의 연결을 통해 작품 속에서 의미하는 불의 상징적 측면에 대해 탐색하고 있다. 끝으로 ‘어두운 불꽃’의 집합류 분석을 통한 음악적 상징과의 연계를 통해 스크리아빈 음악의 불의 상징에 대한 재해석을 이끌어내고 있다.

Alexander N. Scriabin (1872-1915) is a composer who was exposed to a unique cultural environment called Russian Silver Age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t is the Russian Symbolism that led the culture and art of this period. This study is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 Flammes sombres (Op. 73, No. 2) of Scriabin. The symbolic meanings and musical meanings of fire in this work are found 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Symbolism. Therefore, this study first infers the meaning of fire inherent in Scriabin’s music in Russian Symbolism. Secondly, this study approaches the symbolism of fire in Scriabin’s music through the connection of Russian Symbolism and Scriabin’s musical background. Finally, through the set class analysis of Flammes sombres the musical symbolism and the connection of the meaning of fire are derived and the symbolism of fire is reinterpreted in Scriabin’s music.

목차
1. 들어가면서
2. 스크리아빈과 불의 시학
    2.1. 러시아 상징주의 불의 시학
    2.2. 스크리아빈 불의 시학
3. 스크리아빈의 ‘어두운 불꽃’에 나타난 불의 상징
    3.1. ‘어두운 불꽃’의 상징적 의미
    3.2. ‘어두운 불꽃’의 구성과 집합류 분석
    3.3. ‘어두운 불꽃’의 불의 상징에 대한 재해석
4. 나가면서
참고문헌
저자
  • 최원선(연세대학교음악연구소) | Won Sun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