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물질 첨가제가 한우 번식우 바닥의 화학적 성분, 미생물 성상 및 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Mineral Additives on Chemical Compositions, Microbes and Gas Emissions of Hanwoo Cow Man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미네랄 첨가제가 한우사 바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경남 진주시 소재 한우 번식우 농장에서 실시하였다. 우방당 미네랄 첨가제를 5 ㎏ 첨가하였으며, 시험구로는 무첨가구(CON); bentonite 시험구(BN); illite 시험구(IL); 및 fly-ash 시험구(FA)로 두었다. 각각의 시험구로 4개의 우방을 이용하였으며, 우방당 5마리 한우 암소를 공시하였다. 미네랄 첨가제를 처리한 후 각 우방당 5곳에서 0, 7, 14, 21 및 28일에 우분을 채취하였다. 샘플은 건물, 발효특성, 미생물 성상 및 가스 발생량 분석에 이용되었다. 전 기간 동안 건물과 acetate 함량은 미네랄 첨가제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무첨가구에서 7, 14 및 28일에 유기물 함량은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은 가장 낮았다 (p<0.05). IL 시험구에서는 14, 21 및 28일에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IL, BN 및 FA 시험구에서는 각각 14, 21 및 28일에 무첨가구보다 대장균이 낮았다(p<0.05). FA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살모넬라 수가 가장 높았다(p<0.05). IL 시험구에서는 28일에 암모니아 발생량이 가장 높았고 (p<0.05), 황화수소는 전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28일간 결과값을 평균하였을 때, 무첨가구에서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조회분 함량이 가장 낮았다(p<0.05). IL 시험구에서 총 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p<0.05), BN 시험구는 ㏗가 가장 높았다(p<0.05). 대장균 수는 IL 시험구에서 가장 낮았고(p<0.05), 살모넬라 수는 무첨가구 보다 IL과 FA 시험구에서 더 낮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광물질 첨가제는 분 중 가스 발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은 illite와 fly-ash 처리 시에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ineral additives on Hanwoo manure in barn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Hanwoo cow Farm. The manure in barns was applied with mineral additives at 5 ㎏/barn following: without additives (CON); bentonite (BN); illite (IL); and fly-ash (FA). Each treatment used 4 barns as replication and each barn contained 5 cows. After mineral additives were spread, the manure in barns was sub-sampled from 5 sides of pen at 0, 7, 14, 21 and 28 days. The sub-samples were used for analyses of chemical composition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microbial counts and gas emissions. The concentrations of dry matter (DM) and acetic acid were not affected by mineral additives on all days. CON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p<0.05) but lowest concentrations of crude ash (p<0.05) at 7, 14 and 28 days. IL barns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total N (p<0.05) at 14, 21 and 28 days. IL, BN and FA barns had lowest Escherichia coli (E. coli) than CON barn (p<0.05) at 14, 21 and 28 days, respectively. FA barn had highest Salmonella (p<0.05) at 28 day. IL barns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ammonia-N gas (p<0.05) at 28 day. On other hand, hydrogen sulfide gas was not detected on all daysz. In the mean of results for 28 days, CON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p<0.05) but lowest concentrations of crude ash (p<0.05). IL barn had highest concentrations of total N (p<0.05) and BN barn had highest ㏗ (p<0.05). E. coli was lowest (p<0.05) in IL barn and Salmonella were lower (p<0.05) IL and FA barns than CON barn. In the present study, the mineral additives did not affect the gas production of cow manure, but the pathogenic microbes such as E. coli were inhibited by illite and fly-ash.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과 시험구
    2. 우분의 이화학적 특성
    3. 우분의 미생물 조성과 가스 발생량
    4.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1. 우분의 화학적 성분 변화
    2. 우분의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 조성 및 가스 발생량 변화
    3. 전 기간 우분의 성상
References
저자
  • 주영호(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Ho Joo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성신(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eong-Shin Le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노현탁(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Four)) | Hyeon-Tak Noh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Fou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정석(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Four)) | Jeong-Seok Choi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Fou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승민(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Four)) | Seung-Min Jeong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Fou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성운(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축산과학과) | Sung-Woon Choi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삼철(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경상국립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Four)/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축산과학과) | Sam-Churl Kim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BK21Fou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