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아마란스(Amaranthus spp.)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의 발생소장과 수량 감소율 KCI 등재

Seasonal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Related Yield Loss in Amaranth Crop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5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2019~2020년 동안 강원도 강릉지역의 아마란스 포장에서 진딧물류 3종(잠두진딧물,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노린재류 12종(애긴 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풀밭장님노린재 등), 나방류 4종(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도둑나방) 등 총 7과 18종의 해충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발생량이 많아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종류는 잠두진딧물, 애긴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파밤나방, 흰띠명나방 등 5종이었다. 진딧물류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초순에 최대 발생을 보였다. 애긴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8월 하순에 최대 발생량을 보이다가 9월 초순부터 밀도가 감소하였고, 각시장님노린재는 9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늘어나서 10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은 8월 중순부터 유충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중순까지 아마란스에 피해를 주었다. 각각의 해충에 대한 방제구와 무방제구의 수량을 비교한 결과, 진딧물류와 노린재류에 의한 종실 수량 감소율은 각각 51.9%, 69.8%였다. 또한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에 의한 잎 생체량 감소율은 각각 72.5%, 36.5%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sect pests and their damage caused to commercial amaranth in Gangneung, Gangwon-do, Korea, during 2019-2020. A total of seven families and 18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three species of aphids, twelve species of stink bugs, and four species of moths. Among them, five species caused significant economic damage due to a large number of occurrences; Aphis fabae, Nysius plebejus, Polymerus cognatus, Spoladea recurvalis and Spodoptera exigua. Aphids started to occur from the end of April, and showed the greatest incidence in early June. Three Nysius species occurred from mid-May and showed the maximum density in late August, and then its population de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September. Two species of moth caterpillars began to occur from mid-August and damaged amaranth until mid-October. Comparing the yields between amaranth plants with and without a spray of pesticides for each pest, the yield loss of seed by aphids and stink bugs were 51.9% and 69.8%, respectively. Also, the reduction rates of leaf biomass by S. recurvalis and S. exigua were 72.5% and 36.5%,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아마란스 발생 해충 종류
    아마란스 발생 주요 해충의 발생소장
    아마란스 발생 해충의 피해도
결과 및 고찰
    아마란스 발생 해충 종류
    아마란스 발생 주요 해충의 발생소장
    아마란스 발생 해충의 피해도
Literature Cited
저자
  • 권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Min Kwon (Highland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r
  • 김주일(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Juil Kim (Department of Applied Biology, Division of Bio-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창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Changseok Kim (Highland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지삼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Sammyu Jee (Highland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남화연(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과학부 응용생물학전공) | Nam Hwayeon (Department of Applied Biology, Division of Bio-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