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한 CO2 기체분리용 PVA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복합막 KCI 등재

PVA-based Graft Copolymer Composite Membrane Synthesized by Free-Radical Polymerization for CO2 Gas Sepa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5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지구 온난화 이슈에서 가장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는 온실가스의 배출이다. 다양한 온실 가스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CO2)는 이를 분리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기체를 분리하기 위해 poly(vinyl alcohol) (PVA) 기반 공중합체를 제조하여 기체 분리막에 활용했다. 공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법을 활용했으며, 곁사슬을 위한 단량체로 아크릴산(acrylic acid)를 사용하여 PVA-g-PAA (VAA)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했다. 본 공중합체를 이산화탄소 기체분리막에 적용한 사례는 최초이며, 폴리설폰 지지체에 복합막 형태로 제조했다. 공중합체 합성 결과는 FT-IR을 통해, 합성한 공중합체 의 거동은 TEM과 DSC, TGA를 통해 분석하였다. AA 그래프팅을 통해 공중합체는 나노 구조를 형성하며, PVA의 결정화도를 급격하게 감소시켜 이산화탄소의 용해도를 증가시켰고, 이는 이산화탄소 기체 분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이산화탄소 분리막 분야에 용액-확산 및 그래프팅 방법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chronic problems in the issue of global warming is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Carbon dioxide (CO2),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various greenhouse gases,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by humans to separate it. From this point of view, a poly(vinyl alcohol) (PVA)-based copolymer with acrylic acid monomer was utilized in a gas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employed a free radical polymerization to fabricate PVA-g-PAA (VAA) graft copolymer. It was utilized in the form of a composite membrane on a polysulfone substrate. The proper amount of acrylic acid reduced the crystallinity of PVA and increased CO2 solubility in separation membranes.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the novel approach in CO2 separation membrane area by grafting and solution-diffus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험방법
    2.1. 재료 및 시약
    2.2. PVA-g-PAA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합성
    2.3. CO2 기체 분리 복합막의 제조
    2.4.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PVA-g-PAA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합성 및 거동
4. 결 론
Reference
저자
  • 박민수(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Min Su Park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김종학(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ong Hak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라즈쿠마 파텔(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과) | Rajkumar Patel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ESE),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ISE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