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용 유기용매 나노여과막 성능분석 및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Commercial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Membrane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5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Dead-end와 Crossflow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나노여과(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상용분리막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교된 polyimide 소재 기반의 Duramem (DM) OSN 분리막의 성능을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acetonitrile 용매에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분자량 성능을 갖는 DM 분리 막의 성능을 평가하였을 때 dead-end보다 Crossflow에서 조금 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동일한 분리막이더라도 용매의 특성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 차이가 크게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압밀화현상으로 인한 초기 안정화 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분리막마다 안정화기간이 다르므로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Crossflow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work, we tested commercial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membranes using both in-house dead-end and crossflow systems. Four different crosslinked polyimide Duramem (DM) OSN membranes with various MWCO (molecular weight cut off) values were tested in organic solvents such as ethanol, N,N-dimethylformamide, acetone and acetonitrile. The membranes exhibited more reliable and reproducible performance in the crossflow system, and the performance changed significantly depending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sting solvent. This is due to the initial stabilization period via pressure-induced compaction phenomenon, which can be vastly different between membrane samples. Hence, to obtain reliable and reproducible results, crossflow system is the preferred choice.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2.1. Materials
    2.2. Membrane Characterization
    2.3. Membrane performance Evaluation
3. Results and Discussion
    3.1. 분리막 특성분석
    3.2. Dead-End and Crossflow System 성능평가
4.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김수민(에너지화학공학과 인천대학교) | Sumin Kim (Energy &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송건탁(에너지화학공학과 인천대학교) | Guntak Song (Energy &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김정(에너지화학공학과 인천대학교) | Jeong F. Kim (Energy & Chemical Engineering Departmen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