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권 단위 총부양비 예측에 의한 한국 총부양비의 시・공간 전망 (2020~2050년) KCI 등재

A Spatio-Temporal Projection of Total Dependency Ratios for 37 Sub-national Regions in South Korea (2020~205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649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1.21.2.1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전국 37개 생활권의 미래 총부양비를 전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총부양비가 100을 초과하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전국 평균은 2020년 48.6명에서 2050년 141.2명으로 증가하며, 같은 해 경북(동) 권역의 총부양비가 177.7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권은 81.6명으로 가장 낮은 전망치를 보인다. 2040년에는 37개 생활권 중 26개 권역에서, 2050년에는 세종특별자치시를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총부양비가 100을 초과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30년(2020~2050년)에 걸쳐 인천권 총부 양비 증가속도가 259.3%로 가장 빠를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남) 권역은 73.4%로 가장 느릴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총부양비를 통계청에서 전망한 총부양비와 직접 비교하는 데 있어서는 제약이 있으나, 통계청 중위 시나리오에 비해 총부양 비가 전국적으로 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한국 사회가 전례 없이 높은 총부양비에 따른 사회경제적 어려움에 더욱 일찍 직면하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

Total dependency ratios (TDRs) are tabulated at sub-national levels based on the population projection that employs a more spatially disaggregated spatial unit tha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national-level TDR shows 48.63 in 2020 and 141.22 in 2050, and these are larger than the government’s forecast. By 2040, 26 regions out of 37 will show TDRs above 100; by 2050, Sejong is the only region that shows a TDR lower than 100. North Gyeongsang East shows 177.70, which is the highest. Between 2020 and 2050, Incheon shows the most rapid growth in TDR by 259.3%, while South Jeolla South shows the slowest growth by 73.4%. In sum, although the exact comparison is limited, the research presents more rapidly increasing TDRs than the forecast of Statistics Korea, hinting that South Korea will encounter the reality that it has never experienced in the past earlier than the government’s expectation.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배경
    2. 선행연구
    3. 연구목적
II. 연구방법
    1. 생활권 단위 총부양비 예측
    2. 총부양비 및 증가속도
III. 결과
    1. 전국 단위
    2. 권역별 및 광역시·도 단위 비교
IV. 논의
    1. 추계자료에 따른 차별성 및 불확실성
    2.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3. 총부양비 증가의 사회경제적 함의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오석(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리학과/사범대학 지리교육과/미래국토연구소) | Oh Seok Kim (Department of Geography,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and Institute of Future Land, Korea University)
  • 김정민(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 Chong Min Kim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