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굴 패각 피복 콘크리트 기질의 해조류 착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Macroalgae Establishment on Concrete Substratum Covered by Oyster Sh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6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바다숲 복원과 함께 굴 패각의 새로운 자원화를 위해 굴 패각을 피복시킨 콘크리트 기질을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동백리 연안에 설치하여 약 1년간(2020년 1월~11월) 해조류 피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1월 모니터링 결과, 대조구인 일반 콘크리트 기질에는 해조류가 출현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굴 패각을 10 ~ 90 % 피복시킨 실험구에는 해조류가 약 10 ~ 80 %의 피도로 착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1월 실험구의 피도는 대조구 대비 최대 49 %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콘크리트 기질의 인공어초에 굴 패각 피복을 통해 인공어초의 해조류 착생을 촉진할 수 있으며, 수산 부산물인 굴 패각의 새로운 자원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located concrete substratum covered by oyster shells in the coastal area of Gijang-gun, Busan, South Korea, and monitored changes in coverage of macroalgae for approximately a year from January 2020 to determine the potential for sea forest restoration and resourceization of the oyster shells. At the start of monitoring, we observed that macroalgae coverage of the oyster-shell-covered concrete substratum (treatment) was 10 - 80 %, whereas no macroalgae were attached to the normal concrete substratum (control). By November, macroalgae coverage of the treatment had increased by 49 %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We concluded that covering oyster shell on a sea forest reef can promote macroalgae establishment and the possibility of sea forest restoration by the resourceization of oyster shell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굴 패각 콘크리트 기질
    2.2 콘크리트 기질 시설
    2.3 해조류 착생 모니터링
    2.4 수질환경
3. 결과 및 고찰
    3.1 해조류 착생 모니터링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인철(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In-Cheol Lee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성식(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Seongsik Park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우희은(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Hee-Eun Woo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정일원(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Ilwon Jeong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창근(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Chang Geun Choi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경회(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Kyunghoi Kim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