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온기 대형 단동하우스를 이용한 파프리카 품종별 재배실증 KCI 등재

Cultivation Demonstration of Paprika (Capsicum annuum L.) Cultivars Using the Larg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to Overcome High Temperature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05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고온기 원예작물의 안정 생산을 위해 대형 단동하우스 ‘사계절하우스’를 파프리카 재배에 활용 시 시설 내부 기상 환경 및 파프리카 품종별 생육, 수량, 품질 등을 분석하고 근권냉방 효과 등을 구명하여 파프리카 재배환경 조건을 최적화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정식 후부터 재배 종료 시점(2020년 5-11월)까지 시설내 평균 적산광량은 12.7MJ·m -2 d -1로, 온실외부의 평균 광량인 14.1MJ·m -2 d -1의 9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 년중 가장 기온이 높은 7-8월의 온실내 24시간 평균온도는 외기보다 3.04℃ 낮았고, 장마가 끝난 8월 12일 이후에는 평균 4.07℃ 낮게 나타났다. 시설 내 포그 냉방 가동(6월 13일) 이전 일평균 상대습도는 최저 40% (주간 20%) 수준까지 떨어져 작물재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였으나 포그를 가동한 이후 주간 상대습도는 70-85% 수준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수분부족분(humidity deficit)은 포그 공급전에는 최고 12.7g/m 3 까지 상승하여 매우 건조한 조건이었으나, 포그 공급 후 고온기(7-8월)에 평 균 3.7g/m 3으로 감소하였고, 저온기(10-11월)로 갈수록 다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주간 잔존 CO2 농도는 전체 재배기 간동안 평균 707ppm으로 나타났다. ’20년 7월 27일부터 11월 23일까지 수확한 파프리카의 품종별 상품수량(kg/10a)은 주황색 품종 ‘DSP-7054’과 황색 품종 ‘Allrounder’이 각각 14,255kg/10a와 14,161kg/10a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았고, 다음으로 주황색 ‘K-Gloria orange’, 황색 ‘Volante’, 적색 ‘Nagano’ 품종 순으로 나타났다. 사계절하우스에서 고온기(8 월)에 생산된 대과종 파프리카의 품종별 과실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과고, 과폭, 과실당도, 과육두께에서 품종 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당도는 주황색 품종인 ‘DSP-7054’와 ‘Naarangi’에서 높게 나타났고, 과육두께는 황색과 주황색 품종인 ‘K-Gloria orange’와 ‘Allrounder’에서 높게 나타났다. 근권 냉방처리 기간 동안 배지내 일평균 온도는 20.7℃로 나타났고, 근권 난방처리 기간 동안 배지내 일평균 온도는 23. 4℃로 나타났다. 근권부 냉난방 처리를 통해 상품수량은 무처리구에 비해 비해 ‘Nagano’ 16.5%, ‘Allrounder’ 1.3%, ‘Naarangi’ 20.2%, 및 ‘Raon red’ 17.3% 증가하였고, 품종 전체로는 16.1% 증가하였다. 근권 냉난방처리에 의해 과실의 경도는 4개 품종 평균 5.7% 증가하였으나 다른 품질 지표에서는 유의성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integrated solar radiation inside the greenhouse was 12.7MJ·m -2 d -1 , and which was 90% of the average daily global radiation outside the greenhouse, 14.1MJ·m -2 d -1 . The 24-hour averag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from July to August, which ha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year, was 3.04°C low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and 4.07°C lower after the rainy season. Before the operation of fog cooling system, the average daily RH (%) was lowered to a minimum of 40% (20% for daytime), making it inappropriate for paprika cultivation, but after the operation of fog system, the daily RH during the daytime increased to 70 to 85%. The average humidity deficit increased to a maximum of 12.7g/m 3 before fog supply, but decreased to 3.7g/m 3 between July and August after fog supply, and increased again after October. The daytime residual CO2 concentration inside the greenhouse was 707 ppm on average during the whole growing period. The marketable yield of paprika harvested from July 27th to November 23rd, 2020 was higher in ‘DSP-7054’ and ‘Allrounder’ with 14,255kg/10a and 14,161kg/10a, respectively, followed by ‘K-Gloria orange’, ‘Volante’ and ‘Nagon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prika cultivars in fruit length, fruit diameter, soluble solids (°Brix), and flash thickness (mm) of paprika produced in summer season at large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The soluble solids content was higher in the orange cultivars ‘DSP-7054’ and ‘Naarangi’ and the flesh thickness was higher in the yellow and orange cultivars, with ‘K-Gloria orange’ and ‘Allrounder’ being the thickest. The marketable yield of paprika, which was treated with cooling and heating treatments in the root zone, increased by 16.1% in the entire cultivars compared to the untreated ones, increased by 16.5% in ‘Nagano’, 10.3% in the ‘Allrounder’, 20.2% in the ‘Naarangi’, and 17.3% in ‘Raon red’.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파프리카 품종 및 재배 환경
    2. 파프리카 품종별 생산성 및 과실 품질 조사
    3. 근권 냉난방 처리 및 효과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하우스 내 환경변화 분석
    2. 파프리카 품종별 생산성 및 품질
    3. 근권 냉난방 처리에 의한 생산성 및 과실 품질 분석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여경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Kyung-Hwan Yeo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Corresponding author
  • 박석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Seok Ho Park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유인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In Ho Yu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이희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Hee Ju Lee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위승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eung Hwan Wi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조명철(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Myeong Cheoul Cho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이우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Woo Moon Lee (Vegetable Research Division, NIHHS, RDA)
  • 허윤찬(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Yun Chan Huh (Herbal Crop Research Division, NIHH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