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Sargent jump, posture control and lower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Taekwondo demonstra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6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태권 시범선수의 서전트 점프,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대학 태권 시범선수 20 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0명과 통제군 10명을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운동군은 주 3회, 60분, 6주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련을 하였으며, 사전 사후 서전트 점프, 배근력,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서전트 점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자세 조절에서는 앞쪽은 경우 유의하지 않았으나 좌·우 후방 외쪽과 안쪽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종합점수 결과 하체 부상의 위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순발력, 자세 조절, 하체 부상 방지 및 재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 훈련 방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x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on Sargent jumps, posture control, and lower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Taekwondo demonstrator. Twenty healthy collegiate Taekwoondo demontrator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ercise group (Ex = 10), and a control group (Con = 10), Con maintained their normal Taekwoondo demontration training schedule. Whereas Ex group completed the plyometric program in three times a week, 60 minute for 6 weeks. Testing before and after training include the Sargent jump, back muscle strength, Y-balance and lower extremity injury criterion. There are no significant increase in back muscle strength, but significant increase in Sargent jump. In postural control, the anterior was not significa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ft and right posterolateral, posteromedial and the total score showed that there was no risk of injuries. In conclusion, plyometric training is a training method that needs to be actively utilized for power, dynamic posture control, lower extremity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종속변인의 검사
    2.3. 플라이오메트릭 훈련 프로그램
    2.4. 자료처리
3. 결 과
    3.1. 서전트 점프와 배근력
    3.2. 자세 조절
4. 논 의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우영(단국대학교) | Woo-Young, Park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port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