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미수미원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 KCI 등재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nt Activity Effects of Gami-Sumiwon Extract using Water and 80% Ethan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6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가미수미원(백하수오 10 g,; 당귀 6 g; 구기자 8 g; 화피 6 g; 선태 3 g; 홍화 2 g)에 방기(Sinomenium acutum R.) 4 g의 첨가 여부에 따라 각각 열수추출물은 GS±SC(DW), 80% 에탄올 추출물은 GS±SC(EtOH)로 표기 하였다. 각 추출물은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 다. HPLC를 통한 방기 지표물질 함량측정, 중금속 검사 기준 측정, ABTS/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SOD 유사 활성능 측정, ROS 및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방기 지표물질 중 sinomenine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decursin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게 확인되었다. 중금속 측정 결과 기준치 적합으로 확인되었다. ABTS/DPP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GS+SC(EtOH)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상대적으로 열수보다 에탄올 추출이 라디칼 소거율이 높게 확인되었다. 그러나 SOD의 경우 열수 추출에서 상대 적으로 유사 활성능이 높게 확인되었다. ROS 생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O의 생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GS+SC(EtOH)이 라디컬 소거능 및 NO 감소를 높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산화적스트레스 후, 생성된 활성산소의 제거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효능 심화 연구를 통해 조성물을 활용한 화장품 및 기능성 원료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Gami-Sumiwon (GS; Cynanchi wilfordii R., Angelica gigantis R., Lycium chinense M., Betula platyphylla S., Cryptotympana atrata F. and Carthamus tinctorius L.) and/or Sinomenium acutum R. (SC)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or water. And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effect of GS±SC. The following experimental techniques were us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icacy of GS±SC. HPLC chromatogram, heavy metal content, ABTS/DPPH radical scavenging analysis, SOD-like activity assay, FACS, and NO assa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sinomenine content was found to be higher in DW extracts, and decursin was found to be higher in 80% ethanol extracts. And, the amount of heavy metals in all extracts was below the standard value.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dentified that GS±SC(EtOH) was found to have a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GS±SC(DW). But, SOD showed the opposite result. No cytotoxicity of GS was observed on Raw 264.7 cells at concentration of 1∼100 ㎍/㎖. The RO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t GS±SC(DW) was found to have a higher scavenging activity than GS±SC(EtOH). However, NO production showed the opposite result. Looking at the results of SOD and ROS analysis, SC does not seem to have a function of prevention. SC i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the removal of free radicals generated after oxidative stress. This result objectively confirmed the antioxidant effect of GS±SCs. We will continue to conduct in-depth research.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possibility of using GS±SCs as a functional material can be established. The more diverse the objectives, the higher the value of GS utilization is thought to b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료 추출
    2.2. HPLC 함량 분석
    2.3. 중금속 검사
    2.4. ABTS 라디칼 소거율 측정
    2.5. DPPH 라디칼 소거율 측정
    2.6.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 활성측정
    2.7. 세포 생존율 측정
    2.8. NO 생성량 측정
    2.9.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HPLC 패턴 분석과 방기의 지표성분 함량
    3.2. 중금속 함량
    3.4. 라디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3.5. SOD 유사 활성능
    3.6. Raw 264.7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3.7.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
    3.8.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임현지(대덕대학교 뷰티과) | Hyun-Ji Lim (Department of Beauty, Daeduc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