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효과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aching Effectiveness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코칭을 성과 중심적 관점과 존재 중심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두 입장을 통합하여 단일한 기준으로 코칭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코칭효과성 척도 개발 연구로 진행되었다. 코칭효과성 구성요인 및 예비문항 추출을 위해 문헌 검토와 코칭 전문가들의 개방형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113개의 코칭 효과 문항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토마스 레너드가 제시한 코칭 결과물 30가지를 7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4인의 전문가가 문항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도를 확인하여 총 59개의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를 전문코치 102명에게 설문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1, 2차에 걸쳐 실시한 결과, 성과향상 9문항, 자기통찰 9문항, 목적의식 6문항으로 구성된 24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두 번째 연구는 코칭효과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로 진행되었다. 코칭을 받은 경험이 있는 고객 211명을 대상으로 24개 문항의 설문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CFI, TLI 그리고 RMSEA 지수를 통해 모형 적합성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하였고,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적 자기 효능감, 삶의 의미, 자아존중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된 코칭 효과성 척도는 다양한 코칭 분야에서 단일한 기준으로 코칭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work integrates two positions that view coaching from a performance-driven
perspective and an existence-driven perspective to develop a measure of coaching
effectiveness on a single basis and validate its validity.
The firs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evelopment of coaching effectiveness scales.
For extracting component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coaching effectiveness, 113
coaching effectiveness questions were screen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open
questionnaires from coaching experts. 102 professional coaches were surveyed with the pilot
questionnair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urvey results. 24
questions consisting of 9 question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9 questions for
self-awareness, and 6 questions for purpose were developed.
The second study was conducted as a study of the validation of a coaching effectiveness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24 questions was conducted on 211 customers with
coaching experience. The comparative fit index (CFI), the tucker-lewis index (TLI),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index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general self-efficacy, meaning of life, and self-esteem
scale was performed to verify the accreditation valid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 정의에 나타난 코칭의 본질
    2. 토마스 레너드의 코칭 시스템과 30가지 결과물
    3. 토마스 레너드의 코칭 시스템과 결과물에 따른 코칭효과성 구성요인
Ⅲ. 코칭 효과성 척도 문항 개발
    1. 국내외 전문가 개방형 설문조사 및 전문가 검토
    2. 코칭효과성 척도 예비조사
Ⅳ. 코칭 효과성 척도의 타당화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절차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4.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범학식(개신대학원대학교 코칭학과) | Beom Hak-Sik (Department of Coaching, Reformed Graduat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유충열(안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코칭학) | Yoo Chung-Yeol (Department of Coaching,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