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바일 SNS 애착이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Mobile SNS Attachment 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17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모바일 환경의 발달은 사람들이 SNS를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의존하도록 만들고 있으며 SNS를 통해 타인의 상태에 대한 논평을 하거나 언급하는 성 향을 형성하면서 이용자들간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한 개인이 다른 특정한 개인과 지속적인 정서적 유대를 가지는 경향을 애착이라 하는데, 특정 미디어나 브랜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애착이 발생한다는 연구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SNS와 이용자의 애착정도를 살펴보고 애착 관계에 따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해 203명의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SNS의 하위요인 중 안정감과 분리불안 요인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 관계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정감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분리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불안의 부정적인 영향은 SNS중독 연구들과 비슷한 연구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SNS 이용 동기인 관계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연 구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environment encourages people to rely 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as a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hanne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or maintain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while forming a tendency to comment or mention other people's conditions through SNS. The tendency of one individual to have continuous emotional bonds with another specific individual is called attachment, and studies have shown that attachment occurs in the process of using a specific media or br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egree of attachment of SNS and user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attachment relationships on social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203 SNS users.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SNS,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ability and separation anxiety factors, social efficacy,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tability,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and separation anxiety had a negative effect. The negative effects of separation anxiety are similar to those of SNS addiction studies. However, sinc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tabi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search result that can examine the positive impact relationship in terms of relationships, which are motives for using S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SNS 애착
    2. 사회적 자기효능감
    3. 대인관계 만족도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방법
    2. 측정변인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대인관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2. SNS 애착과 사회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3. SNS 애착과 대인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미경(청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Kim Mi-Kyung (Dept. of Media Communication, Chungwoon University)
  • 이은지(청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Lee Eun-Ji (Dept. of Media Communication, Chungwo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