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양 방식이 엘크 암사슴의 건물섭취량, 증체량 및 자록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Feeding Systems on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awn Performance in Elk Doe(Cervus canadensi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0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엘크 암사슴(Cervus canadensis)의 사육방식에 따른 사료섭취량, 체중변화 및 자록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적정 방목강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 된 공시가축은 3~4년생 엘크 암사슴 16두(평균체중 : 236.2 ± 15.7 kg)를 이용하였으며, 방목초지는 3년 이상된 톨 페스큐 위주의 기성 혼파초지로서 초종구성은 톨 페스큐(약 50%), 오차드 그라스(약 10%), 켄터기 블루그라스(약 5%)와 피, 바랭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방목초지의 수분함량은 19.51∼22.61%로 방목기간 동안 유사하였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6~7월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은 가을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NDF와 ADF함량은 각각 53.65∼60.18%과 26.08∼29.10% 로 조사되었다. 실험기간동안 보충사료 섭취량은 월별로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사료와 총 건물섭 취량은 5월을 제외하고 처리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p<0.05). 특히 8월에는 GR처리구의 조사료 섭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여름철 환경변화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9월 포유를 위해 부족한 영양소를 섭취하기 위해 사초섭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우리 연구에서 암사슴의 채식패턴은 수사슴과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실험기간 자록의 이유 및 포유기간에 따른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사양방식에 따른 엘크 암사슴의 체중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GR처리구에서 자록의 성장률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R처리구에서 BF처리구에 비해 낮은 이유율이 나타나 분만 전후 사사사육을 통해 이유율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목지 내에서 분만 시 포유경험이 있는 산차가 높은 암사슴을 이용하고 방목강도를 높여주는 것이 이유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엘 크 암사슴의 방목강도는 연평균 15두/ha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마 암사슴(Dama dama)에 비해서는 체중대비 높게 나타났으나, 엘크 수사슴에 비해서는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성초지 이용으로 인해 사초의 생산성이 감소한 결과로 사료되며, 앞으로 방목초지의 혼파방법과 기성초지의 비배관리 등을 통해 초지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systems on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awn performance (Cervus canadensis) and estimation of grazing intensity in Elk doe at pasture. A sixteen Elk doe about 236.2 kg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feeding treatments. The treatment consisted of a barn feeding system (BF) and grazing at pasture (GR), and pasture was mainly composed of tall fescue, orchard grass, and Kentucky bluegrass. The moisture content of pasture was 19.51~22.61%, which was similar during experimental periods.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from June to July (p<0.05). The contents o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ranged 53.65~60.18%, and 26.08~29.10%,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eding systems on supplementary feed intake, but the roughage and total dry matter inta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except for May. In August, roughage intake was dramatically decreased in the GR group due to summer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intake of roughage in September might be related to nutrient intake for mamma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between treatment groups, but the fawn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 group (p<0.05). These results might be suggested that grazing elk doe might positively affect fawn growth.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BF might increase the deer weaning rate during the parturition period, since the lower weaning rate in the GR group compared to the BF group. The grazing intensity of Elk doe was increased from May to July and decreased in August, which was influenced by pasture productivity. The average grazing intensity of Elk doe was found to be 15 heads/ha, which might be controlled by supplementary feeding. Further studies needed that mixed sowing methods and fertilization management in old grazing pastures for improved pasture productiv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1. 공시가축 및 사양관리
    2. 엘크 암사슴의 섭취량, 증체량 및 번식성적 조사
    3. 방목초지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분석 및 방목강도 설정
    4. 통계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사양방식에 따른 방목초지의 월별 사료가치 비교
    2. 사양방식에 따른 엘크 암사슴의 섭취량, 증체량 및 번식성적 비교
    3. 엘크 암사슴의 적정 방목강도 설정
Ⅳ. 요약
Ⅵ. REFERENCES
저자
  • 이진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Jinwook Le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이성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Sung-Soo Le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이상훈(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 | Sang-Hoon Lee (Grassland and Forag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최봉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Bong-Hwan Choi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전다연(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 Dayeon Jeon (R&D Coordination Division, RDA)
  • 김찬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Chan-Lan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김동교(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Dong-Kyo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이은도(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Eun-Do Le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 김관우(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Kwan-Woo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