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쥐 난자의 성숙과정과 노화단계에서 나타나는 Nitric Oxide 생산량의 변화 KCI 등재

The Spontaneous Nitric Oxide Production during Mouse Oocyte Maturation and Aging Pro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5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난자의 성숙과정과 노화에 관한 이해는 인공수정과 체외수정 최적기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연구내용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작은 번식 호르몬들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난자 세포질 변화에 관한 내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질소물(nitric oxide, NO)이 난자 성숙과정에서 증가하는 것을 밝혔으며 난자의 미성숙단계(germinal vesicle stage, GV)와 난자핵막붕괴단계(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및 성숙완료단계(metaphase II, MII)단계에서 생산되는 NO의 양을 비교하였다. 또한, 난자를 체외에서 배양할 때, MII단계로 성숙되지 않는 성장 단계의 난자에서는 NO의 증가 현상을 관찰할 수 없었고, 세포질이 불균일한 노화된 난자에서는 NO가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특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NO의 작용이 난자의 성숙과정과 난자 노화과정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Oocyte maturation i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for in vitro fertiliz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The process of maturation depends on the function of reproductive hormones but is not known on cytosolic response in detail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nitric oxide (NO) increasement during oocyte maturation. The increasement of NO was measured in the immature oocyte (gernimal vesicle stage, GV), maturing oocyte (germinal vesicle break-down stage, GVBD), and matured oocyte (metaphase II stage, MII). Also, the NO vesicles were found in the cytosolic compartments of the aged oocyte. The intensity of NO production was increased during in vitro maturation but significantly lower in immature oocytes. In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increasement of NO is an important marker for oocyte maturation also for the aging proces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윤리
    2. 화학물질과 시약
    3. 난자의 채취 및 체외 성숙
    4. 난자 내 Nitric Oxide 생산량 비교
    5. 통계적 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김성우(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Sung Woo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orresponding autho
  • 이재영(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Jae-Yeong Le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찬란(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Chan-Lan Kim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고응규(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Yeoung-Gyu Ko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이성수(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 Sung-Soo Lee (Animal Genetic Resourc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