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 작업 부하를 이용한 식용 옥수수 수확기의 설계 하중 도출 KCI 등재

Determination of Design Loads of Maize Harvester Using Actual Working Loa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5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농업기계는 다양한 환경과 작물을 대상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농업기계의 설계와 개발은 실 작업 부하를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 옥수수 수확기의 실 작업 부하를 계측하기 위해 식용 옥수수 수확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계측된 부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확기 내 기어박스 요소들의 강도 및 수명을 평가하기 위한 부하 스펙트럼을 구축하였다. 부하 스펙트럼은 기어박스의 구성요소 중 기어와 베어링에 적용 가능한 하중 지속 분포와 기어와 베어링을 제외한 축, 하우징, 캐리어 등에 적용 가능한 부하 스펙트럼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하중 지속 분포 및 부하 스펙트럼은 식용 옥수수 수확기의 기어박스 강도 및 수명 평가뿐만 아니라, 기어박스의 설계 하중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agricultural machinery performs work on various environments and crop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al machinery should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working load.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ctual working load of the maize harvester. In addition, a load spectrum was built to evaluate the strength and life of gearbox elements in the maize harvester using the measured actual working load. The load spectrum was built by dividing it into load duration distribution, which load duration distribution & load spectrum built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for rating the strength and life of the gearbox of the maize harvester but also for the design load of the gearbox.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시험용 트랙터
    2. 식용 옥수수 수확기
    3. 계측시스템
    4. 시험 환경
    5. 계측 데이터 신호처리
결과 및 고찰
    1. 실 작업을 통한 식용 옥수수 수확 부하 데이터 계측
    2. 레벨 분포 카운팅을 이용한 하중 지속 분포 도출
    3. 레인플로우 카운팅을 이용한 부하 스펙트럼 도출
References
저자
  • 김지태(서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서울대학교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 | Ji-Tae Kim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 Convergence Major in Global Smart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Corresponding autho
  • 이호섭(경상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4전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Ho-Seop Lee (epartment of Biosystem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조승제(전북대학교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농기계연구그룹) | Seung-Je Cho (Department of Bioindustrial Machinery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 Smart Agricultural Machinery R&D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Gimje, 54325, Korea)
  • 우제근(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밭농업기계화연구팀) | Jea-keun Woo (Upland Mechanization Tea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54875, Korea)
  • 하창섭(두루기계통상) | Chang-Sub Ha (Dooroo Machinery&Trading Co, Asan, 31420, Korea)
  • 박영준(울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서울대학교 융합전공 글로벌 스마트팜,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Jun Park (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Convergence Major in Global Smart Far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Corresponding aut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