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부모부양과 자녀양육 등의 이중고를 부담하는 한국의 베이비부머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6차 데이터 중 1955년에서 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 여성에 해당 되는 1,40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여성 베이비부 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주관적 기대감에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baby boomer women on life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expect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releas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regarding 1,407 baby boomer women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baby boomer women, the higher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 impa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of baby boomer women on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subjective expec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expecta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baby boomer women were deliv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