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가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Effects that the Stress Related to Parenting has on the Selfesteem of Women Eeriencing a Career Break and the Well"eing of Their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6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orean Journal of Fusion Ayurveda)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가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S시에 거주하는 경력단절 여성 14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 였다.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지표 간의 관계에 대한 다중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양 육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요인은 자아 존중감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그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에서 부모의 고통 요인이 가족 건강성에 대해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모의 고통 요인이 높을수록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건강성이 낮아진다는 것 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력단절 여성의 부모의 고통 요인을 감소시킨다면 자 아 존중감 및 가족 건강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나타났으며,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자경력단절 여성의 양육 스트레스가 자아 존중감 및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areer-interrupt women's Parenting Stresse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outcomes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0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at S City.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22.0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enting Stresse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on job burnout, it was found that parental pain, a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es,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Parenting Stresse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on family strengths, it was found that parental pain factor, a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es,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strengths.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arental pain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es of career disconnection, lowers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for preparing measures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측정 도구
        2.4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3.3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3.4 양육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가족 건강성과의 관계
References
저자
  • 최정효(Dept. Art and Love Psychological Counseling Research Institute. 21, Eonju-ro 30-gil, Gangnam-gu, Seoul, Repu6lic of Korea) | Jung-Hyo Cho
  • 임동호(Dept. Department of Naturopathy, Dong6ang Culture Graduate Univ., Seong6uk-ro 2<-gil, Seong6uk-gu, Seoul, Repu6lic of Korea) | Dong-Ho L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