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Walking a Tightrope Balancing Between Home and Local: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Foreign Subsidiary Autonomy KCI 등재

해외 자회사 자율성의 선행 요인과 결과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6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는 제도적 이중성(institutional duality)의 관점에서 해외 자회사 자율성의 선행 요인 과 그 성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해외 자회사의 자율성은 자회사가 본사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략적 의사결정을 하고 그 성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역할을 의미한다. 경영상 본사에서 파생되었으나 물 리적으로 해외에 자리하는 해외 자회사의 자율성에 상반된 영향을 주는 본국과 현지국의 제도적 요 소는 본사의 국제화전략 지향성과 지역 이해관계자 요구이다. 해외 자회사가 직면하게 되는 이러한 상반된 제도적 환경의 자율성에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19개 국가에 진출한 177개 한국기업 해 외 자회사를 대상으로 GLS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사의 국제화전략이 범세계적 통합보다 현지국에 서의 지역별 대응을 지향할수록, 또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강할수록 해외 자회사의 자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결과는 나타났다. 해외 자회사들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자회사는 해당 지역 이 해관계자 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필요한 자원을 획득하고 본사로부터 제공된 자원과의 적절한 융합을 통해 자회사만의 독특한 경쟁우위를 창출하며 이것이 종국에 기업 성과를 상승시키는 것으 로 분석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사의 국제화전략이 현지국에서의 지역별 대응을 지향할수록 자회사 자율성이 자회사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강화하는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다. 더 나아가, 자회사 자율성은 지역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자회사 성과로 이어지는 데에 부분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국적 기업의 본사는 해외 자회사의 운영에 있어 지역별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고, 해외 자회사 또한 본사와 현지국 양 편에서 오 는 제도적 압력의 균형점을 찾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dual factors driving subsidiary autonomy and the subsequent impact on performance. We define autonomy as a role that can put its decisive plan into development without the interference of headquarters (HQ) and take charge of its strategic performance. We advance the idea that the more the HQ global orientation is inclined toward local responsiveness than global integration and the more local stakeholder demand influences the foreign subsidiary, the more subsidiary autonomy increases. An autonomous foreign subsidiary with the capability to find local specific resources and combine them with HQ resources will result in greater strategic performance as the strategic mix turns out to be a unique competitive advantage. In order to figure out the detailed context which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ubsidiary autonomy and subsidiary performance, two antecedents were also employed as moderators. HQ global orientation which is more prone to local responsiveness than global integration turned out to enhance the positive link of subsidiary autonomy and subsidiary performance. Furthermore, subsidiary autonomy was reveale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stakeholder influence and subsidiary performance. General supports were found in the model based on 177 Korean subsidiaries located in 19 host countries worldwid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Development
    2.1 Literature Review of the Subsidiary Autonomy
    2.2 Antecedents of Subsidiary Autonomy
    2.3 Consequences of Subsidiary Autonomy
Ⅲ. Method
    3.1 Sample and Procedures
    3.2 Measurements
    3.3 Validity and Reliability
    3.4 Statistical Analysis Method
Ⅳ. Results
    4.1 Descriptive Features of Data
    4.2 Institutional Duality and Subsidiary Autonomy
    4.3 Subsidiary Autonomy and Subsidiary Performance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요 약
저자
  • Yoonjin Kim(Ph.D. Candidate, Sogang University) | 김윤진 Corresponding author
  • Changsu Kim(Professor, Sogang University) | 김창수
  • Jong-Hun Park(Professor, Sogang University) | 박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