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생물막 형성을 막기 위한 살균 물질 함유 막: 총설 KCI 등재

Membrane Containing Biocidal Material for Reduced Biofilm Formation: A Review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26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세균은 분리막, 식품 포장 필름 및 바이오 의료 기기와 같은 다양한 미생물 막의 표면 위에서 자란다. 미생물 막 의 성장은 엑소폴리사카라이드의 복잡한 구조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미생물 막이 항균제의 대량 수송의 어려움으로 성 장하게 될 경우 항균효과는 급격하게 감소한다. 항균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막의 표면은 살균 특성이 있는 기능성 물질 들로 변형, 코팅 또는 고정한다. 한 가지 아이디어는 막 표면에 양전하 이온을 도입하는 것이다. 양전하 이온인 4차 암모늄 그룹의 존재는 마그네슘이나 칼슘같이 세균 세포벽에 존재하는 2가 금속이온을 대체할 수 있다. 세포막 파괴의 효능은 표면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작용제들의 이동성에 달려있다. 이 리뷰에서는 4차 암모늄 그룹, 헬라민(helamine), 쌍성이온(zwitter ion)과 같이 여러 살생물제를 포함하고 있는 막들을 다룬다.

Bacteria grow biofilm on various surface such as separation membrane, food packaging film and biomedical device. Growth of biofilm is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a complex structure of exopolysaccharides. Effect of antibacterial effect reduce drastically once the biofilm developed due to the difficulties in mass transport of antimicrobial agent. In order to enhance the antibacterial activity, surface of the membrane is modified, coated or immobilized with functional materials with biocidal properties. One of the idea is to introduce positive charge on the membrane surface by the presence of quaternary ammonium group which might displace divalent metal ion such as magnesium or calcium present in the bacteria cell wall. Efficacy of cell membrane disruption depends on the mobility of the agents available directly on the surface environment. In this review, various biocidal agents like quaternary ammonium group, helamine or zwitter ion containing membrane are discussed.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1
2. Membrane with Quaternary Group
3. Halamine Containing Membrane
4. Zwitterionic Containing Membrane
5.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손수현(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생명과학공학과) | Soohyun Son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Department (LSBT), Underwood Division (U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Seoul 03722, South Korea)
  • 라즈쿠마 파텔(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 Rajkumar Patel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ESE),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ISED),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Incheon 21983,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