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한반도에 중규모의 지진이 연속해서 발생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진방재 대책을 새로이 마련하고 있다. 지진재해 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보는 지질과 지반정보로 여러 관계기관에서 관련자료를 수 집하고 DB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러한 정보들을 지자체의 지진방재 대책 수립에 이용하고자 할 때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지질정보의 경우, 소축척 지질도는 개략적으로 표현이 되어 세부적인 특징을 보여주기가 어렵 고, 대축척 지질도는 도폭 간의 경계에서 암상이 불일치하거나 구조선의 연장이 불분명하다. 지반정보의 경우, 디지털화 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장된 정보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진방재 대책의 기초단위인 지방자 치단체 단계에서의 지질·지반정보관리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이미 생산되었거나 생산될 지질정보와 지반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전문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산학연 기술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많은 지질과 지반정보가 축적될 수 있도록 자치법규 제정 및 개정이 요구된다. 셋째, 지질·지반정보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전문가시스템 도입방안이 마 련되어야 한다. 넷째, 효율적인 정보의 관리를 위하여 전담부서 신설과 예산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Due to recent mid-scal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preparing new measures for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Thus, related data have been collected and assimilated as DBs by various national organizations. However, several problems arise when local governments intend to use this information to establish earthquake hazard mitigation measures. In the case of the geological information, small-scale geological maps make it difficult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whereas lithofacies and faults do not often match at the boundaries of large-scale geological maps. Significant geotechnical information is lost due to lack of digitalization. Present study proposes four policy plans for geological and ge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link industry-academictechnology fields to use the information that has already been or to be produced more efficiently and professionally. Second, local government regulations are required to be enacted and revised to accumulate a lot of geological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Third an expert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department and expand budget support for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