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는 한국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를 알아보기 위해 지진에 대한 지식, 인지, 대처의 3개 구인으로 구성된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비례 층화 표본 추출 방법으로 수집된 1,256명 시민의 응답을 라쉬분석, 추리통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지식과 인지에 비해 대처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해 준비도와 관련된 변인 분석 결과, 지진 재해 준비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 수준, 실제 거리, 안전 인식이 있었다. 셋째, 지진 재해 준비도의 3개 구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지식, 인지, 대처 세 가지 구인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 구조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또한, 성별과 교육 수준이 달라도 이러한 구조적 상관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군집 분석 결과, 5개 유형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진 재해 준비도 3개 구인의 수준이 중간 정 도로 서로 비슷한 집단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민들의 지진 재해 준비도 함양을 위한 교육의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eparedness of Korean citizens for earthquake hazard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preparedness of citizens for earthquake hazards, consisting of three constructs (knowledge, awareness, and management). A total of 1,256 citizen responses were collected through probability proportionate-to-size sampling and then subjected to Rasch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questionnaire analysis showed that overall, the earthquake preparedness of citizens was 'normal', with a lower management score than knowledge and awareness scores. Second,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preparedness for earthquake hazards, gender, education level, actual distance, and safety awareness were found to influence preparedness for earthquake hazards. Third,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constructs of preparedness for earthquake hazards, namely knowledge, awareness, and management, indicating a structurally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addition, even if gender and education level differed, these structural correlations were similar.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citizens were further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group with moderate levels of the three construc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citizens. Considering these findings, we propose an educational orientation that fosters the preparedness of citizens for earthquake haz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