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협화음의 종류가 인지간섭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Dissonant Chord on Cognitive Interference and Emo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음악의 요소 중 불협화음은 많은 연구 결과에 따라 불쾌를 일으킨다고 여겨져 왔지만, 불협화음의 종류에 따른 인지적 역할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희소하다. 본 연구는 불협화음의 음정 간격에 따라 특정한 정서를 일으키는지, 인지 간섭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불협화음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부 정적 정서가 느껴질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불협화음은 저 각성 부적정서 보다 고 각성 부적정서를 많이 일으켰다. 특히 장 7도의 음정이 다른 불협화음보다 무섭다는 응답이 유의하게 많았 다. 실험 2에서는 불협화음의 불협화 정도에 따라 인지간섭에 차등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1명을 대상으로 색-단어 스트룹 과제를 실시한 결과 불협화음은 모두 소리가 없는 조건에서보다 응답 시간이 느렸고, 오답 률 또한 높았다. 특히 단 2도는 실험에 사용된 불협화음 중 가장 느린 응답 시간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불협화음의 종류가 부적정서와 인지간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보여주었다.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musical dissonance generally evokes negative affect, but few studies detail how distinct dissonant intervals, ranging in various roughness, influence emotions and cognition. This research entailed two experiments to confirm whether varying musical intervals of dissonance trigger particular negative emotions and increase cognitive interference. Experiment 1 assumed that different dissonant intervals would elicit distinct negative emotions. In a survey involving 131 participants, there was an overwhelming consensus that dissonant intervals elicited stronger high arousal negative affect than low arousal negative affect. The major 7th degree was found to evoke a significantly stronger feeling of scared. Experiment 2 investigated whether emotions-affecting dissonance would have an enhancing effect on cognitive interference. According to a color-word Stroop task conducted on 81 participants, the presence of any dissonant sound caused significantly higher reaction times and error rates than in the absence of sound. In particular, the minor 2nd degree was cognitively the most disruptive and associated with the slowest reaction times. This paper shows how different ranges of dissonance can effectively influence negative affect and heighten cognitive interference.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 목적
    2.1. 인간의 정서
    2.2. 정서와 인지
    2.3. 협화음과 불협화음: 청각이론
    2.4. 불협화음과 정서 및 인지간섭
    2.5. 연구 가설
3. 실험 1: 불협화음 종류에 따른 정서
    3.1. 연구 방법
    3.2. 결과
    3.3. 실험 1 논의
4. 실험 2: 불협화음 종류에 따른 인지간섭
    4.1. 연구 방법
    4.2. 결과
    4.3. 실험 2 논의
5. 종합논의
REFERENCES
저자
  • 김재희(연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석사) | JayHee Kim
  • 한광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KwangHee H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