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ttrakDiff를 활용한 터치디스플레이와 VR장비의 교육용 웹툰 사용성 비교 KCI 등재

Usability Comparison of Educational Webtoon between Touch Display and VR Device Using AttrakDiff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3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VRㆍAR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로 국내외 기업들이 VRㆍAR 관련 기술 및 콘텐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VRㆍAR 기술에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 결합된 산업인 에 듀테크 분야에 있어서는 새로운 혁신적 교육 모형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으로 에듀테크를 구체 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술과 사업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널리 활용되 어 온 터치 패널 기반 디스플레이툰 콘텐츠와 VR툰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을 비교 분석해 VR툰 개발에 필요한 사용 성 요소들을 선정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수행을 위해 태블릿 PC툰 및 VR툰을 분석 도구로 선정했으 며, 10대부터 40대까지의 30명(남자 19명, 여자 11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기기를 사용하게 한 후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은 AttrakDiff 평가 방법을 통한 정량적 방법과 9가지 항목(만족도, 신규성, 조작성, 창의성, 이해성, 교육성, 흥미성, 참여성, 표현력)에 따른 정성적 평가방법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과를 토대로 두 기기의 사용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VR툰은 실용성은 떨어지나 자극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기인 반면 태블릿 PC툰은 자극성은 떨어지나 실용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기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태블릿 PC툰에 비해 VR툰에 대한 만족도가 컸다.

Global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rkets are growing as VR and AR become a new source of revenue for industries around the world. In the edutech sector, an industry that combines traditional education, research on new innovative educational models and business models are scarce, and improvements are needed in the technology group and business environment to realize edutech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elements strategically required for VR Toon develop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ouch panel-based display Toon and VR Toon content experiences. Tablet PC Toon and VR Toon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research. Thirty people (19 men and 11 women) from their teens through their forties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formulated through a quantitative method by using AttrakDiff with a 7-point scale (-3: negative words to 3: positive words). Qualitative evaluations were also performed addressing nine concepts (satisfaction, novelty, operability, creativ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terest, participation, expressiveness). As a result, the usability test results of educational content using tablet personal computers and VR equipment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user experience to define elements expected to be strategically required for VR Toon development.

목차
Abstract1)
요 약
1. 서론
2. 선행 연구
    2.1. VR툰의 사용성
    2.2. VR 교육의 사용성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4.1. 정량적 분석 결과
    4.2. 정성적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영진(국민대학교 디자인사이언스학과 박사과정) | Young-Jin Kim
  • 유훈식(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뉴미디어학부 조교수) | Hoon-Sik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