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물 행동권 분석 방법론 고찰- 괭이갈매기 사례 분석과 시사점 - KCI 등재

Animal Home Range Estimators- A Review and a Case Stud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1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동물은 그들의 필요와 외부 자극, 그리고 주변 환경에 반응하면서 특정한 행동과 이동 패턴을 보이며, 생활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일정한 영역인 행동권(home range)을 가진다. 행동권은 종의 존속과 보전에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는 점에 기반하여 해외에서는 행동권 추정 방법론 개발 및 정책 반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 추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좌표간 시간 간격이 줄어들며 정밀해진 동물 추적 데이터는 기존 행동권 방법론에 한계점을 드러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새로운 방법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국내 행동권 연구는 아직 더딘 편이며 새로이 개발된 방법론 도입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동물 행동권의 더욱 정확한 추정을 목적으로 꾸준하게 개발되어 온 해외의 방법론들을 정리 및 소개하여 국내 도입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크게 기하학적 그리고 통계적 추정 방법론으로 나눈 후 좌표들이 독립일 때와 자기상관성이 존재할 때의 경우로 나누어 총 7가지의 행동권 추정 방법론을 비교 및 고찰하였다. 실제 전남 신안군 불무기도에 번식하는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의 6월 한 달간 GPS 위치 추적 정보를 사용해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행동권을 도출하였 다. 행동권 결과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각 방법론의 특징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동물 행동권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특성과 분석 목적에 알맞는 방법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행동권 분석 방법론 선택 의사결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nimals exhibit certain behaviors and movement patterns as they react to their internal needs, external stimuli,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They have a bounded range in which they mostly spend their time, and it is referred to as a home range. Based on the fact that the home range is a critical area for the survival and preservation of species,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developing more precise home range estimation methods to use the estimated ranges as a ground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conservation policy since the early 1940s. Recent rapid advancements in telemetry technology that resulted in the presence of autocorrelation between locations with short time interval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stimators. Many novel estimators have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for it by incorporating autocorrelation in calculating home ranges. However, studies on the animal home range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 in Korea, and newly developed methodologies have not yet been adop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foreign home range estimation methods and foster domestic research activities on home ranges. Firstly, we compared and contemplated seven estimators by categorizing them into geometrical and statistical methodologies and then divided them into estimators that assume independent observations and those that consider autocorrelation in each category. After that, the home ranges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were calculated using GPS tracking data for the month of June and derived home range estimator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introduced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ults to discus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ethod. Lastly, we proposed a guideline that can help researchers choose an appropriate estimator for home range calculation based on the animal location data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purpose.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기하학적 행동권 분석
    2. 통계적 행동권 분석
    3. 괭이갈매기 사례분석
결과 및 고찰
    1. 괭이갈매기 행동권 분석 결과 및 고찰
    2. 제언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성주(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국토정책평가실, 연구원) | Sung-Joo Lee (Environmental Assessment Group,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30147, South Korea)
  • 이후승(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국토정책평가실, 연구위원) | Who-Seung Lee (Environmental Assessment Group,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30147, South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