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준불연복합섬유패널 보강 필로티 RC 기둥의 국부화재실험 KCI 등재

Local Fire Experiment of Piloti RC Columns Reinforced with Quasi-Non-Combustible Composite Fiber Pan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2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필로티 공간은 일반적인 건축부재와 달리 부재가 외기와 접해 있고 실내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와 가연물의 종류 및 배치 등이 달라 다양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필로티 구조는 기둥으로만 이루어진 사방이 트인 구조로 인해 화 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피해를 입은 기둥은 강도 및 강성이 저감되고 부재의 저항성이 저하되므로 단시간 안에 온도가 상승하여 구조체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다면 건축물 파손으로 인해 피난로를 차단당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날 것 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의 필로티 공간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해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미치는 화재영향을 확 인하고자, 기둥 국부화재실험을 통해 보강재에 따른 RC 기둥의 온도분포 및 파괴양상을 검토하였다.

Unlike general building members, the members used in piloti spaces are exposed to various fire risks due to different types and arrangements of combustibles caused by indoor fires. The piloti structure only consists of columns and is open in all directions. In the case of fire, the strength and stiffness of a damaged column are reduced, and the resistance of a member is reduced. Therefore, the temperature rises in a short time. If such a problem occurs, it is expected to have many casualties due to building damage, and the evacuation route will be obstructed.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destruction of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according to reinforc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a local fire experiment on the columns to confirm the fire effect on RC columns du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piloti spaces of a multi-family house.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2.1 기존 연구 동향
3. 화재실험
    3.1 개요
    3.2 재료시험
    3.3 실험 계획
    3.4 실험체 제작 및 열전대 설치
4. 실험결과 및 분석
    4.1 기둥 내의 온도분포
    4.2 파괴양상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정연(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 Kim Jeong Yeon (Master Cours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 박지혜(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 Park Ji Hye (Master Course,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 최인락(호서대학교 건축토목환경공학부 부교수) | Choi In Rak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Asan, Korea)
  • 민정기(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실화재센터 책임연구원) | Min Jeong Ki (Principal Researcher, Real-scale Fire Testing & Research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Samcheok, Korea)
  • 최성모(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Choi Sung Mo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