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크 입자가 도입된 전기방사 복합막 제조 KCI 등재

Fabrication of Electrospun Composite Membranes with Silk Powd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2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지구 온난화 및 기상 이변으로 인하여 온실가스 저감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 라 에너지 소모 없이 셀프 쿨링이 가능한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실크는 천연 쿨링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기존의 혼합 공정에서는 실크를 화학적으로 분말화 시키기 때문에 복사 냉각 효과가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어, 복사냉각을 위한 필름 또는 코팅제 형태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크 피브로인의 고유구조를 훼손 하지 않는 물리적 분쇄 공정을 거친 실크 분말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막을 제조하고, 코팅제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 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크 피브로인 분말이 도입된 전기방사 복합막 및 평막 형태의 복합막을 제조하였으며, 용액의 점도가 막 제조 및 제조된 막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관찰하였다.

As the issue of reducing greenhouse gases is emerg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extreme weather, research on materials capable of radiative cooling without energy consump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mong them, silk is known as a natural self-cooling material, but in the conventional mixing process using chemically powdered sil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diative cooling effect disappears by the collapses of the intrinsic crystal structure of silk fibroin, so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t in the form of a film or coating agent for radiative cooling.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membranes were manufactured using silk powder that went through a physical pulverization process that does not damage the intrinsic structure of silk fibroi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as a coating agent. Electrospun membranes and flat sheet membranes were prepared by using silk fibroin powder for this purpose,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viscosity of the solu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brane fabrication and its propertie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험방법
    2.1. 재료
    2.2. 전기방사막 제조
    2.3. 실크 평막 제조
    2.4. 분석 및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전기방사막 제조
    3.2. 실크 평막 제조
    3.3. SEM 분석
    3.4. 기계적 특성 분석
4. 결 론
Reference
저자
  • 서영진(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Young Jin Seo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 강호성(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Hoseong Kang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 임광섭(경상국립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Kwang Seop Im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 최강민(비이제이실크) | Kang-min Choi (BJ Silk, Jinju 52834, Korea)
  • 박치훈(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Chi Hoon Park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Corresponding author
  • 남상용(경상국립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Sang Yong Nam (Department of materials Engineering and Convergence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 장해남(경상국립대학교 에너지공학과) | Hae Nam Jang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