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구과학II 교과서의 한반도 중생대 지질 내용 분석: 교과서 내·교과서 간·과학 지식과의 일치 여부를 중심으로 KCI 등재

Content Analysis of the Mesozoic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in Earth Science II Textbooks: Focusing on Consistency within and among Textbooks, and with Scientific Knowled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4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한반도 지질 정보는 공공적 활용을 위한 기초 지식의 토대를 제공하며 역사 과학으로서 지질학의 본성을 배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므로 과학교육 측면에서 중요성이 크다. 특히 한반도에서 지구조 활동이 활발했던 중생대는 한반 도 지사를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지구과학II 교과서의 ‘한반도의 지질’ 단원에서 중생대의 지질과 관련된 내용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지구과학II 교과서 4종이고, 분석 범위는 중생대의 퇴적층, 지각 변동 및 화강암류이다. 분석 항목은 분석 범위와 관련된 용어, 시 기, 암석 분포 지역이며, 분석 항목별로 교과서 내·교과서 간 일치 여부 및 과학 지식과 교과서 내용의 일치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생대 지질 관련 용어, 시기, 암석 분포 지역 측면에서 각각 다양한 불일치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불일치 사례를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논하였다. 한반도 지질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계와 교육계의 협업을 통해 최신 과학 지식과 정합한 교육 자료가 개발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Geological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it provides a basic knowledge foundation for public use and create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nature of geology as a historical science. In particular, the Mesozoic Era, when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ed a high degree of tectonic activity, is a pivotal period for understanding the geological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content regarding the geology of the Mesozoic Era are reliably and consistently presented in the ‘Ge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section of Earth Science II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ur textbooks for Earth Science II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sedimentary strata, tectonic movement, and granites of the Mesozoic Era. The analysis items were terms, periods, and rock distribution areas. The consistency within and among textbooks and of textbooks and scientific knowledge was analyzed for each analysis item. Various inconsistencies were found regarding the geological terms, periods, and rock distribution areas of the Mesozoic Er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inconsistencies. It is essential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latest scientific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communitie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한반도 중생대 지질 개요
연구 방법
    분석 대상
    분석 방법
분석 결과
    용어의 일치 여부
    시기의 일치 여부
    암석 분포 지역의 일치 여부
결론 및 제언
사 사
References
저자
  • 정찬미(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 Chanmi Jung (Divis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유은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본부) | Eun-Jeong Yu (Divi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박경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 Kyeong-Jin Park (Divis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