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골목상권의 영역 설정과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사례로 KCI 등재

Area Setting and Classification of Alley Business Districts in Cheongju,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419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2.22.1.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골목상권은 상권 경쟁력 확보와 상권 내 점포의 안정적 운영 측면에서 중요한 공간적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고, 코로나 이후 상권 측면에서도 골목상권은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골목상권 연구는 서울시와 같은 대도시 골목상권 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청주시를 사례로 소상공인 개별 데이터와 GIS 기법을 활용하여 중소도시에 적합한 골목상권 영역 설정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골목상권 유형을 분류하고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골목상권 영역 설정은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거쳐, 생활밀착형 업종 점포를 추출하고 도로명주소 내 ‘길’ 단위 점포를 추출하여 골목상권 영역을 설정하였다. 골목상권 유형은 개폐업률에 의해 성장형-순환형-정체형-쇠퇴형으로 분류하고, 네 유형의 골목상권 분포를 지도화하 고 상권별 주요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골목상권 영역 설정 방법과 유형 분류는 앞으로 세밀한 골목상권의 이해와 공간 단위에서의 골목상권 변화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성과는 상권의 이해와 변화 예측을 넘어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Alley business districts are important market areas to secure retail and commercial marketing competitiveness and stability, most of which has been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including the COVID-19 pandemic. While, most research studies in South Korea have focused on cases within large cities and high-street business districts such as Seoul and several large-sized cities in Kyuunggi province,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delineate alley business district on a set of street boundarie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here one-person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subcontractors, in particular, have been suffered. This study has two main objectives: delineating spatial extents and classifying district types of the alley business districts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This study delineates spatial extents using GIS-based data handling and processing techniques with the data sets of individual store coordinates and ‘Gil’ type of the road names available through small enterprise, commercial, and road name address databases. Using the delineating spatial extent and classification results, this study produced alley business districts map of Cheongju city and exam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types of districts in the city. Finally, we expect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 alley(‘Gil’)-based catchment areas and classification of the alley businesses — may be used as core data and contribute adequately to predicting street-scaled markets and businesses. Besi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realistic starting point for policymaking to revitalize alley business districts with the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of its district changes.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방법
    3. 연구 데이터
II. 골목상권 관련 선행 연구 고찰
III. 골목상권 영역 구축과 설정
    1. 영역 구축
    2. 영역 설정
IV. 골목상권 유형 분류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경태(상록고등학교 교사) | Kyeong Tae Park (Teacher, Sangrok High School, Ansan)
  • 김영훈(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 Young-Hoon Kim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