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은 다양한 국가에서 과거로부터 민간의약적으로 사용해 온 유용한 한약자원으로, 동북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고 있다.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 C. A. Meyer로 Araliaceae에 속하고 약용 부위는 곁뿌리를 제거한 뿌리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인삼의 종류와 명칭을 정리하고, 동북아시아 공정서 내 인삼의 기원들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인삼종의 전초의 형태를 비교하였고, 여러 문헌 정보를 바탕으로 각국 인삼종의 약리학적 효능을 정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려인삼의 품종은 약 15종이며, 이들 중 재래종(자경종), 천풍, 연풍, 금풍, 산양삼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한약재 활용 가능한 인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재배해야 하며, 그 조건도 까다롭다. 약리학적으 로 가치가 있는 인삼종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대량증식 방법으로 기내조직배양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크기를 측정하고 형태를 비교하였고, 종자를 횡단면으로 절단해 배의 형태를 관찰했다. 각 인삼종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내배양을 진행하였고, MS+GA 1.0mg/L 조건에서 발아율은 미국삼이, 생존율은 금풍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인삼의 한 종류인 산양삼은 자연에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재배조건이 까다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양삼을 수경 재배해, 해당 인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미생물종을 동정하였다. 기내배양을 통한 4종의 인삼종 종자 발아 실험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종이 확인되었고,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 연구원이 제공하는 전통의학정보포탈(KIOM Oasis Portal)과 농업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의 인삼특작부에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분양받아 진행되었 다. 해당 논문은 기내배양을 통한 인삼의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Ginseng is a useful herbal medicine resource that has been used traditionally in various countries for a long time. Ginseng is found in Nor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The scientific name of ginseng is Panax ginseng C. A. Meyer, which belongs to Araliaceae and the medicinal part is the root. In this study, the types and names of ginseng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were summarized and the origins of ginseng in Northeast Asia pharmacopoeia were examined. The pharmacological efficacy of ginseng species from various countries was summarized based on various literature information. Additionally, to harvest ginseng that can be used as herbal medicine, it is cultivated for a long time under unfavourable conditions. In order to produce pharmacologically valuable ginseng species rapidly in line with market demand, a mass production system through in vitro cultiv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we performed in vitro culture using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The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was collected, their sizes measured, and shapes compared. The seeds were cut in cross section to observe the shape of the embryo and then hydroponically cultivated wild ginseng and identified various microbial species found in that ginseng specie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Korean varieties Chunpoong, Yunpoong, Gumpoong and Wild ginseng were compared. Various microbial species were also found in four types of ginseng seed germination experiments through in vitro culture, and identified through rDNA sequence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seeds of each ginseng variety in the traditional medicine information portal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and the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of the Korea Institut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Ginseng varieties currently cultivated in Korea are about 15. MS + GA 1.0 mg/L condition led to highest germination rate in American ginseng and the best survival rate for Gumpoong. Wild ginseng cultivars are characterized by slow growth in nature.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the cornerstone of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mass production system of ginseng through In vitro cul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