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in the T2 Value of Knee Cartilage according to Knee Position in the Bore of the MRI Device KCI 등재

자기공명영상 장치의 보어 내 무릎 위치에 따른 무릎 연골의 T2 값의 변화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1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본 연구는 무릎 MRI 검사 시 무릎의 위치가 보어 중심을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무릎 연골 T2 값의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릎 질환이 없는 정상인 지원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보어 중심을 기준으로 무릎을 오른쪽으로 10 cm 그리고 20 cm 이동시키면서 영상을 획득하였다. 무릎 MRI 영상은 스핀에코기법을 활용하였고 무릎 연골의 T2 값을 계산하기 위해 TE 값은 13.8, 27.6, 41.4, 55.2, 그리고 69 ms로 적용하였다. 신호 측정은 무릎의 내, 외측 관절 융기가 가장 크게 나타난 영상의 대퇴 연골과 경골 연골에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재구성된 T2 값은 보어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0 cm: 39.16 ms, 10 cm: 32.59 ms, 20 cm: 26 ms). 또한, 신호 값도 보어 중심에서 그 위치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p<0.00). 특히, 보어 중심에서 20 cm까지 멀어짐에 따라 TE 69 ms의 영상에서 신호 값은 46.2%까지 감소하였다. 무릎 위치와 무릎 연골 T2 값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음의 상관관계 (r=-0.736)가 나타났다 (p<0.00). 결론적으로 MRI 검사에서 무릎 위치는 무릎 연골의 T2 값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T2 값의 정확도나 재현성 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무릎 MRI 검사에서 무릎 연골의 정확한 T2 값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보어 중심에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valuated how T2 values of the knee cartilage change as the knee is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bore in a knee MRI study. Ten volunteers without knee diseas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ir T2 values were measured at locations of 0, 10, and 20 cm from the center of the bore. A spin echo technique was used to acquire multiple images of the knee by selecting several echo times at 13.8, 27.6, 41.4, 55.2, and 69 ms, which were applied to calculate quantitative T2 values. Additionally, signal intensity in the femoral and tibial cartilages was measured in all knee images for each TE and location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T2 values and the signal of knee positions. The T2 value and signal intensity decreased as the knee was moved away from the bore center (p<0.00). The T2 value was reduced by increasing knee position from the bore center (0 cm: 39.16 ms; 10 cm: 32.59 ms; 20 cm: 26 ms). The signal intensity of the corresponding knee position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46.2% in the TE 69 ms.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nee position and the T2 value (r = −0.736, p<0.00). The knee position provided the decreased T2 value of the knee cartilage, indicating that the accuracy or the reproducibility of T2 values can be reduced. It can protect that new corrected techniques are introduced for any variation with knee positions, or the knee during the MRI scan approaches the bore center.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실험 대상 및 검사 방법
    2. 영상평가 및 분석
Ⅲ. 결과
    1. 위치에 따른 무릎 연골의 T2 값 비교
    2. 위치에 따른 무릎 연골의 신호 값 분석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Soon-Yong Kwon(건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권순용
  • Hae-Won Jeong(건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정해원
  • Chung-Hwan Kang(건국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강충환
  • Seong-Ho Kim(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성호
  • Sang-Hyun Han(대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한상현
  • Sangwoo Kim(대원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상우 Correspondenc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