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면적 입자 측정 분석법을 이용한 셰일 가스 저류층 내 공극 구조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f Pore Structure in Shale Gas Reservoir Using Large-area Particle Measurement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4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비전통(unconventional) 에너지 자원 중 최근 각광받고 있는 셰일 가스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저류층의 공극 구조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면적으로 입자나 형상 분포를 확인 할 수 있도록 개발된 분석 장치인 대면적 자동화 입자 분석 시스템(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article Analysis, SELPA)을 활용하여 셰일 가스 저류층 시료의 공극 분포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아드 분지에서 시추된 A-068 시추공 시료 중 방해석이 주 구성 광물인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 행하였다. SELPA를 이용하여 시료 내 수십 나노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공극을 관찰하였 고 각 공극의 크기 별 비율을 확인하였다. 같은 영역의 표면을 대상으로 각각 1000배, 3000배, 5000 배의 배율로 이미지를 관찰하여 공극의 분포를 확인한 결과 최소 3000배 이상의 배율에서 관찰 해야 100 nm 이하의 공극까지 관찰되어 작은 스케일의 공극 분포까지 분석할 수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방법론을 통해 셰일 가스 저류층을 포함한 비전통 자원의 저류층 내 공극의 분포를 단시간에 파악할 수 있는 방법론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비전통 저류층 내 공극 구 조 파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Studies of pore structure in shale gas reservoirs are essential to increase recovery rates, which is in the spotlight concerning unconventional resources.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pores in shale gas reservoir sample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article Analysis (SELPA), which is appropriate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or shape for sample in large area. A sample from the A-068 borehole drilled in the Liard Basin was analyzed; calcite is the main mineral. The pore size ranges from tens of nanometers to hundreds of micrometers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pore size to overall sample porosity was determined using SELPA. The distribution of pores was determined by observing the surface in the same area at magnifications of ×1000, ×3000 and ×5000. Pores less than 100 nm were observed at high magnifications and confirm that small-scale pore distribution can be analyzed and identified rapidly using SELPA. The method introduc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pore structures in unconventional reservoir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 방법
    시료 소개
    XRD 분석 방법 및 광물 조성
    SELPA
결과와 토론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박선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석유가스센터) | Park Sun Young (Oil & Gas Research Center, Petroleum & Marin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wahak-ro 124, Yuseong-gu, Daej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고용규(㈜코셈) | Ko Yong-kyu (COXEM Application LAB, Migun Techno World 1-cha, 199, Techno2-ro, Yuseong-gu, Daejeon, Korea)
  • 이준희(㈜코셈) | Lee Junhee (COXEM Application LAB, Migun Techno World 1-cha, 199, Techno2-ro, Yuseong-gu, Daejeon, Korea)
  • 최지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석유가스센터) | Choi Jiyoung (Oil & Gas Research Center, Petroleum & Marin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wahak-ro 124, Yuseong-gu, Daeje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