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북극해는 지구 기후 변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므로, 북 극해 퇴적물 연구는 지구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2016년에 수행된 아라온호의 ARA07C 북 극해 탐사를 통하여 동시베리아해 연변부에서 획득한 ARA07C-St02B 중력 코어를 이용하여 퇴적학적, 광물 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원지를 추정하였다. 코어 퇴적물은 색, 입도와 빙운쇄설물 의 함량에 의하여 4개의 유닛으로 구분하였는데, 갈색층을 포함하는 유닛 1과 3은 회색층으로 구성된 유닛 2 와 4보다 모래와 빙운쇄설물의 함량이 다소 높다. ARA07C-St02B 코어 주변에서 연구된 ARA03B-27 코어 와 비교를 통하여 이들은 MIS (Marine Isotope Stage) 1부터 4시기에 퇴적된 것으로 여겨진다. 갈색층을 포 함하는 유닛들과 회색층으로 이루어진 유닛 사이에는 벌크 광물 조성, 점토광물 조성, 지화학 조성에서 차이 가 난다. 벌크 광물과 점토광물 특성은 조립질 퇴적물과 세립질 퇴적물 사이에 기원지가 다를 수 있음을 시 사한다. 조립질 퇴적물은 대부분 랍테프해와 동시베리아해로부터 동시베리아 연안류나 추크치해로부터 보퍼트 환류를 따라 운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세립질 퇴적물은 대부분 동시베리아해, 추크치해, 보퍼트해로부터 해 류에 의하여 운반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닛 1의 일부 조립질 퇴적물과 유닛 3의 세립질 퇴적물은 보퍼트해와 캐나다 북극 군도로부터 해류, 빙산 또는 해빙에 의하여 연구 지역에 퇴적된 것으로 판단된다. 잠재적인 근 원지의 지화학 조성에 관한 자료를 획득하게 되면, 연구 지역의 코어 퇴적물의 기원지와 공급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rctic Ocean is very sensitive to global warming and Arctic Ocean sediments provide a records of terrestrial climate change, analyzing their composition helps clarify global warming. The gravity core sediment ARA07C-St02B was collected at the East Siberian margin during an Arctic expedition in 2016 on the Korean ice-breaking vessel ARAON, and its provenance was estimated through sedimentolog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is. The core sediment was divided into four units based on sediment color, sand content and ice-rafted debris content. Units 1 and 3 had higher sand and ice-rafted debris contents than units 2 and 4, and contained a brown layer, whereas units 2 and 4 were mainly composed of a gray layer.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adjacent core sediment ARA03B-27 suggested that the sediment units were deposited during marine isotope stage 1 to 4. The bulk mineral, clay mineral, and geochemical compositions of units including a brown layer differed from units including a gray layer. Bulk and clay mineral compositions indicated that coarse and fine sediments had a different origin. Coarse sediments might have been deposited mostly by the East Siberian Coastal Current from the Laptev Sea and the East Siberian Sea or by the Beaufort Gyre from the Chukchi Sea, whereas fine sediments might have been transpoted mostly by currents from the East Siberian Sea, the Chukchi Sea and the Beaufort Sea. Some of the coarse sediments in unit 1 and fine sediments in unit 3 might have been deposited by iceberg ice, sea ice or current from the Beaufort Sea and the Canada Archipelago. Investigating the geo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tential origins will elucidate the origin and transportation of the study area’s core sedi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