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안항만 입․출항 선박에 대한 항법적용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Navigational Rules to Vessels Entering and Departing Coastal Por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582
  • DOIhttps://doi.org/10.14443/kmilaw.2022.34.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海事法硏究 (해사법연구)
한국해사법학회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Law)
초록

선박입출항법은 그 공간적 적용범위를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으로 한정하고 있다. 위 법률의 엄격한 문리해석상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에서 제외된 수역에 는 해사안전법 내지 1972년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의 관련 항법규정들이 적용 될 것이지만, 해사안전법과 국제규칙의 입법취지를 비추어보면 연안항만에 위 법률과 규칙을 직접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선박입출항법의 적용범위인 무역항의 수상구역 밖의 수역시설을 해양수산부장관이 관리권을 가진 국가관 리무역항에 한정하고 있는 항만법의 관련 규정은 입법론적으로 문제가 있다.그렇다면 비록 현행 법령의 해석으로는 지방관리무역항에 대해 선박입출항법 을 직접 적용할 수 없더라도, 지방관리무역항에서의 해상교통에 관해서도 선박 입출항법의 규정을 직접적용 또는 유추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해상교통 환경이 유사한 항만법상 연안항 내지 어촌·어항법상 어항에도 선박입출항법이 규정하는 항법을 유추 적용할 필요가 있다. 연안항만에서의 항법규정에 관해, 다수의 해양안전심판 재결에서 심판원은 해사안전법과 국제규칙의 관련 규정 들을 적용함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원의 상무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반조항으로의 도피로서 적절하지 않다. 한편 광 의의 해상교통법에 포함되는 유·도선법과 낚시관리법 등에서는 유선 및 도선과 낚시어선의 운항규칙에 관해 별도의 규정을 두고 있다. 위 법률들에서 규정하 는 운항규칙들은 해사안전법의 적용대상이 아닌 내수면을 운항하는 선박을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해수면 등을 운항하는 선박에는 해사안전법과 선박입 출항법의 관련 규정이 적용된다. 그러나 해사안전법의 항법 관련 규정은 연안 항만에 직접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선박입출항법은 그 적용범위가 무역항 의 수상구역 등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낚시어선 등이 주로 입출항하는 연 안항 내지 어항 등에서의 항법 규정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유·도선법 및 낚시어선법에서 규정하는 운항규칙의 주요 내용은 선박입출항법 등의 실정법규에서 규정하는 항법규정과 그 괘를 같이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입법론으로서 유선 및 도선, 낚시어선 등에 적용되는 운항규칙을 해수면을 운 항하는 선박에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limits its spatial application to the water zones of trade ports. According to the strict literary interpretation of the above law, the relevant navigation regulations of the Maritime Safety Act or「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s at Sea, 1972, hereunder, 'International Rules'」 will be applied to waters excluded from the waters of trade ports. The relevant regulations of the Port Act which restricts water facilities outside the water area of a trade port, which is the scope of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to trade ports managed by the state are legislatively problematic. If so, even if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law does not directly apply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to the local managed trade port, it is reasonable to directly apply or infer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to the local managed trade port. Also, in light of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Maritime Safety Act and international rules, it is not appropriate to directly apply the above laws and rules to coastal p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navigation rules prescribed by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by analogy to coastal ports under the Port Act and fishing port under the Fishing Villages and Fishery Harbor Act where marine traffic environments are similar to the trade ports. Regarding the navigational regulations in coastal ports, in a number of maritime safety trials, the judges apply 'the Ordinary practice of good seamanship'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applying the relevant regulations of the Maritime Safety Act and the International Rules. However, this is an escape to the general clause, which is not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The Excursion Ship And Ferry Business Act and the Fishing Management and Promotion Act, which are included in the broader Maritime Traffic Act, have separate regulations on the navigational rules of the excursion ship, ferry, and the fishing boat. The navigational rules stipulated in the above laws are subject to ships that operate inland waters, not seagoing vessels which is subject to the Maritime Safety Act. Therefore,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Maritime Safety Act and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are applied to ships operating at sea levels. However, since the navigational regulations of the Maritime Safety Act are not suitable for direct application to coastal ports, and the scope of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is limited to water areas of trade por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iveness of navigational regulations to be applied to coastal ports or fishing ports where fishing boats mainly enter and depart. Considering that the main contents of the navigational rules stipulated in the Excursion Ships and Ferry Act and the Fishing Management and Promotion Act are in line with the navigation rules stipulated in the laws such as the Act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Of Ships, as a legislative theory, it is necessary to expand application of the navigational rules which is applied to excursion ships, ferry and the fishing boats to seagoing vessel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선박입출항법의 공간적 적용범위
    1. 무역항의 수상구역
    2. 항만법 제2조 제5호 가목의 수역시설 중 수상구역 밖의 수역시설로서 관리청이 지정ㆍ고시한 사항에 대한 검토
    3. 무역항의 수상구역 등이 아닌 해역에서의 해상교통 법규의 적용
Ⅲ. 선박입출항법의 공간적 적용범위에서 제외된 연안항만입출항 선박에 대한 항법의 적용
    1. 문제의 소재
    2.「유선 및 도선 사업법」과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의 적용을 받는선박의 항법
    3. 연안항만에 대한 선박입출항법상 항법규정의 적용 문제
    4. 해사안전법·선박입출항법과 국제규칙의 입법취지 및 적용대상에 대한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정원(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변호사) | Jung-W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