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지초지에서 애기수영의 생육제어를 위한 질소와 석회의 적정시용수준의 추정 KCI 등재

The Estimation of Optimal Nitrogen and Lime Application Levels on the Growth Control of Sheep Sorrel(Rumex acetocella L.) in Mountainous Pastur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0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산지초지에서 애기수영의 생육제어를 위한 석회와 질소의 적정 시용수준을 추정하였다. 1. 애기수영의 모든 예취회수에서 질소시용수준간과 석회시용수준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석회 200~300kg/10a의 수준에서 질소 21kg/10a 이상을 시용하는 것이 설정하는 것이 애기수영의 생육제어를 위하여 효과적이었다. 3. 질소 16kg/10a의 수준에서의 애기수영의 연간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4. 질소 48kg/10a의 수준에서 석회 520.5kg/10a을 시용할 경우, 애기수영의 완전한 생육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석회 200~300kg/10a의 수준에서 2회 예취와 4회 예취의 생육제어효과가 가장 높았다. 6. 질소 48kg/10a의 수준의 1회 예취, 2회 예취, 4회 예취에서 생육제어효과가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an optimal lime and nitrogen levels on the growth control of sheep sorrel in mountainous pastures of Taekwalyon areas. The dry matter yield of sheep sorrel was recongniz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the N levels and lime levels, respectively. Most effective growth control of sheep sorrel showed an over the N levels of 21kg/10a under the ranges of lime levels of 200~300kg/10a per annum.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sheep sorrel was obtained at the N level of 16kg/10a under the N level of 48kg/10a per annum. The highest growth control effect of sheep sorrel was obtained at 2nd and 4th cuts, and 1st, 2nd and 4th cuts under the ranges of lime levels of 200~300kg/10a, and the N level of 48kg/10a per annum, respectively.

목차
Abstract
I . 서 론
II. 재료및 방법
III. 결 과
    1. 석회와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예취회수별 애기수영의 건물수량에 대한 분산 분석
    2. 석회 시용수준별 질소시용수준에 따른 각예취회수의건물수량
    3. 석회시용수준별 애기수영의 평균 건물수량
    4. 석회시용수준별 애기수영의 최대 건물수량과한계 질소시용수준
    5. 질소시용수준별 석회시용수푼에 따른 각 예취번초의건물수량
    6. 질소시용수준별 애기수영의 각 예취회수의 평균 건물수량
    7. 질소시용수준별 애기수영의 완전한 생육제어를위한석회시용수준
IV. 고 찰
Ⅴ. 적 요
VI. 인용문헌
저자
  • 이주삼(연세대학교 문리대학) | Ju Sam Lee (Col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Yonsei Univ)
  • 이상영(낙농진흥회) | Sang Young Lee (Korea Dairy Committe)
  • 조익환(대구대학교 자연자원대학) | lk Hwan Jo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Taegu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