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Dried Food Waste Powder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국내 음식부산물 발생량은 연간 약 500만톤으로 그 중 70 %가량은 퇴비화 또는 사료화로 자원화되고 있다. 최근 비료공정규격상 음식부산물 건조분말(DFP)이 혼합유기질비료 및 유기복합비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아직 적정사용기준에 대한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집 시기별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의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음식부산물 건조분말이 혼합된 혼합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 작물 및 토양화학성 변화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NF), 무기질비료처리구(NPK, N-P2O5-K2O=32-7.8-19.8 kg 10a-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단독처리구(DFP), 시판혼합유기질비료(MOF),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처리구(DFPMOF)이며 DFPMOF 처리구는 100, 200, 400 및 600%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DFP, MOF 및 DFPMOF 처리구는 질소비료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료처리를 하여 작물 재배실험을 진행하였다. 음식부산물의 화학적 특성은 시기별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중금속 함량 또한 기준에 적합한 수준이었다. 배추 생산량은 DFPMOF 처리구가 6,280 kg 10a-1로 NPK처리구(7,000 g kg-1)와 가장 유사하였으며 질소이용효율 또한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 pH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EC, OM 및 Ex. K는 DFPMOF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통해 DFPMOF 는 질소비료사용량 기준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적합할것으로 판단되나, 적정사용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연용시험을 통한 환경영향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food waste is produced more than 5 millions tons and which applroximately 70% was recycled through compost and feed. Recently, dried food waste powder (DFP) can be used raw materials for organic fertilizer.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chemical properties of DFP and the effect of DFP mixed organic fertilizer (DFPMOF) application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reatments consist of No fertilizer treatment (NF), inorganic fertilizer (IF, N-P2O5-K2O=32-7.8-19.8 kg 10a-1), DFP, MOF, DFPMOF (100, 200, 400 and 600%). DFP, MOF and DFPMOF treatment were fertilized based on the recommended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The yield and nitrogen efficiency of Chinese cabbage in DFPMOF 100% treatment (6,280 kg 10a-1 and 65.0%) were similar to that of NPK treatment (7,000kg 10a-1 and 63.3%). In DFPMOF 100, 200, 400, 600% treatment, pH had a tendency to decreased than that of IF and NF treatment. Otherwise, EC, OM and Ex.K has dendency to increased than that of IF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PMOF 100% application could be best to prevent a nutrient accumulation of soil and to increase the yield. Further study should be required to evaluate long-term DFPMOF effect on soil properties and crop yield.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조사
    2. 음식물부산물 건조분말 사용량별 작물 재배시험
    3. 토양 및 식물체 분석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국내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특성
    2.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 유기질비료의 사용량에 따른배추의 생산량 및 질소이용효율
    3. 음식부산물 건조분말 혼합유기질비료 사용에 따른 토양화학성 변화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성헌(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사) | Seong-Heon Kim (Researcher, Division of Soil and Fertiliz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심재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사) | Jae-Hong Shim (Researcher, Division of Soil and Fertiliz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박성진(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사) | Seong-Jin Park (Researcher, Division of Soil and Fertiliz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이윤혜(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관) | Yun-Hae Lee (Senior researcher, Division of Soil and Fertiliz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권순익(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연구관) | Soon-Ik Kwon (Senior researcher, Division of Soil and Fertilizer,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