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활엽수림의 산림 유형 구분 KCI 등재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in Deciduous Forests Using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산림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활엽수림(혼효림 포함)의 상층 교목성 수종을 대상으로 유사한 수종구성을 갖는 산림 유형 분류를 통해 활엽수림의 효율적 산림관리 기반 구축을 위해 실시하였다.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3,994지점) 중 2,291지점의 임분 현황 자료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분석, 지표종분석, 다중판별분석 등 다양한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산림 유형을 분류하였다. 활엽수림의 산림 유형은 신갈나무-피나무림, 신갈나무-당단풍나무림, 신갈나무-물푸레나무림, 신갈나무-굴참나무림, 신갈나무-소나무림, 졸참나무-굴참나무림, 소나무-신갈나 무림, 소나무-굴참나무림, 밤나무-아까시나무림, 상수리나무-소나무림 등 10개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와 기타 활엽수림,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참나무 림, 주요 참나무류 수종과 소나무의 혼효림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사된 102종의 수종 중 점유비율이 높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및 소나무가 산림유형 분류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fficient forest management of deciduous forests (including mixed forests) through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with similar tree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growth data for tree species at the upper stories of deciduous forests (including mixed forests) in 2,291 sample points among the 7th national forest inventory 3,994 points, forest types were classified using variou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cluster analysis,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The forest types of natural deciduous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10 as follows;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Acer pseudosieboldianum, -Fraxinus rhynchophylla, -Q. variabilis, -Pinus densiflora, Q. serrata-Q. variabilis, P. densiflora-Q. mongolica, -Q. variabilis, Castanea crenata-Robinia pseudoacacia, and Q. acutissima-P. densiflora forests. It was composed of Q. mongolica-other deciduous species mixed forests, oak forests dominated Q. mongolica, and mixed forest of major oak species-P. densiflora. The dominant rate of Q. mongolica, Q. variabilis, and P. densiflora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자료수집 및 정리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클러스터분석
    2. 지표종분석
    3. 다중판별분석
    4. 산림유형 명명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상훈(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임업연구사) | Sang Hoon Chung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선희(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임업연구관) | Sun Hee Kim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이상태(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임업연구사) | Sang Tae Lee (Forest Technology and Manage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