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숭아 선별작업장의 미세먼지의 발생특성 모니터링 KCI 등재

Monitoring of Dust Concentration Generated during Peach Sorting Oper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1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복숭아는 대표적인 여름 과일이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으로 밀폐되고 집약적인 생산환경으로 인해 시설 내 유기분 진, 농약, 복숭아털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악한 작업환경으로 인한 작업자들이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 숭아 선별작업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위치별, 작업별, 입경별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저감 및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 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미세먼지 모니터링 결과 지역별로 는 선별과정에서 미세먼지의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기계적인 과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10μm 이상의 미세먼 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해서 공정 중 미세먼지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 및 미세먼지 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저감시설 및 개인보호구의 착용이 요구된다.

Peach is a typical summer fruit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food, processed food, and fragrance ingredients in Korea. Peach is also known as one of serious allergens which make difficulty for farm workers during peach sorting operations. After peach harvesting, it moves to the sorting operations for removing cover material, removing fuzz on peach surface, sorting by size, and packing. The air-samplers and optical particle counters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generation by loc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experimental peach farms. During removing peach fuzz, the dus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6.89 times on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 2.13 times on PM-10 (particulate matter), and 1.30 times on PM-2.5 compared to non-working periods, respectively. During removing peach covering materials, the dust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3.14 times on TSP, 1.91 times on PM-10, and 1.43 times on PM-2.5 compared to non-working periods, respectively. This represents peach fuzz can be affected to farm workers during peach sorting operation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 대상 농가
    2. 미세먼지 모니터링 장비
    3. 미세먼지 모니터링 방법
결과 및 고찰
    1. 복숭아 선별작업장 내 구역별 미세먼지 농도
    2. 작업별 미세먼지 농도
    3. 작업자의 미세먼지 영향평가
    4. 복숭아 선별장 내 미세먼지의 물리적 형상 분석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서효재(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대학원생) | Hyo-Jae Seo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서일환(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과 교수) | Il-Hwan Seo (Professor,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