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빈곤지역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참여실천연구 - 지역교육네트워크 화월주의 ‘마을협의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KCI 등재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Form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Poor Areas -Focused on the 􍾧Village Council Project􍾨 in Hwawolju, a Local Education Netwo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69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빈곤지역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은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주체가 되어 빈곤 아동청소년의 문제를 지역 과제로 인식하고 함께 해결해갈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우리 의 과제를 우리 스스로 고민하고 궁리하여 실천 활동에 적용하고자 􍾧참여실천연구􍾨를 진행하였 다. 실천 내용으로는 􍾧월산동마을교육활동가협의회􍾨라는 주체들 간 협의􍾶소통 구조를 조직하였 고, 워크숍, 세미나, 컨설팅 등을 통해 지역 교육 문제를 논의하고 학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학교 교사와 마을활동가의 협동을 통해 마을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였고, 마을 공유공간이자 청소년 거점 공간을 마련하였다. 실천 과정에서의 특징은 첫째, 주체나 공간, 활동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지역(마을)에 대한 지향이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 활동의 시작이 주체들이 함께 논 의하고 공유, 합의하는 과정에서부터 비롯하였다. 셋째, 중간지원자인 화월주의 독특한 역량과 역할로 초반에는 주도적으로 기반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다가 당사자들을 활동의 주체로 세운 다음 권한과 역할을 넘겼다. 넷째, 실천 과정에서 자기 또는 상호 간 반성적 실천 모습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당사자 참여실천연구 과정을 통해 지역 과제를 해결해나가고 마을 주민의 주체적 성장과 마을교육공동체 형성의 실체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있다.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healthy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poverty-stricken areas is possible only when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take the lead and solve them together. Therefore, we conducted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o consider our task and apply it to our practical activities. As a practical matter, a consultation and communication structure called the ‘Wolsan-dong Village Educational Activists Council’ was organized, and local education issues were learned through workshops, seminars, and consulting. Based on this, a village education course was developed and operated, and a space for youth base was prepared.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process are: First, the orientation toward the region (village) was strongly revealed in designing the subject, space, and activity. Second, the start of the activity came from the process of sharing and agreeing with the actors. Third, with the unique capabilities and roles of HwaWolJu as an intermediate supporter, it plays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foundation in the beginning, then sets the parties as the subject of the activity and transfers the authority and role. Fourth, selfor mutual reflective practice w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the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cess, local problems were solved and the possibility of independent growth of residents and establishment of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confirm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빈곤 아동청소년의 삶
    2. 학교 중심의 교육복지사업
    3. 빈곤지역 교육공동체의 참여실천활동
Ⅲ. 연구방법
    1. 참여실천연구
    2. 연구대상 선정
    3. 참여연구팀 구성
    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참여실천연구 프로젝트 기획 배경
    1. 지역교육네트워크 화월주의 활동 맥락 : 기관실무자 중심의 협의체
    2. 마을 단위 생활권 교육지원의 필요성 인식 : 생활권 마을협의체 구성
    3. 주도적인 마을협의체 활동의 어려움 도출 : 참여실천연구 기획
Ⅴ. 참여실천연구 과정
    1. 연구계획 협의 및 참여연구팀 구성
    2. 마을문제 규정 및 논의
    3. 마을교육계획 수립
    4. 마을교육활동 수행
Ⅵ. 학습결과의 확인
    1.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참여와 관계 형성
    2. 주민참여 플랫폼이자 협의구조 기반 마련
    3. 학교와 마을의 협력 결과물로 마을교육과정 개발·운영
    4. 마을 청소년 거점 공간 마련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혜정(공주대학교 지방교육정책개발원 연구교수) | Han Hyejeong
  • 양병찬(공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Yang Byeongch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