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콜레마니진디벌의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LED 광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4개의 LED 광원(385, 405, 450, 및 660 nm)을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Y자관 시험에서 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385 nm LED 광원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대한 유인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3개의 LED 광원(385, 405, 및 450 nm)과 대조구로 5,000k 백색 LED를 사용하여 비선택시험을 수행한 결과, 450 nm > 385 nm > 405 nm 광원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았으나 450 nm와 385 nm 광원간 유의차는 없었다. UV-A에 속하는 385 nm LED 광원은 피부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제외하였고, 최종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품질확인장치에 적용할 광원으로 선발하였다. 450 nm LED 광원을 콜레마니진디벌 우화기구에 적용한 결과, 87.4%의 높은 유인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천적 품질관리에 유 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termine an appropriate LED light source that can be appli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Aphidius colemani. Four LED light sources (385, 405, 450, and 660 nm) were evaluated in a Y-tube experiment (choice test) using a 5,000-k white LED as a control. The 385 nm LED light source was found to have attractant effect on A. colemani. In a no-choice test (Y-tube experiment) evaluating the remaining three LED light sources (385, 405, and 450 nm), the attractiveness of these light sources for A. colemani was high in the order 450 nm > 385 nm > 405 nm light,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450 nm and 385 nm. Given that 385 nm LED illumination may cause skin damage, we selected 450 nm LEDs for application in a device used for the quality control of A. colemani, which we subsequently demonstrated to have an attraction rate of 87.4%. We belie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make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quality control of natural ene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