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방해자극의 기억용이성이 목표자극의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Distractor Memorability on Target Memory Perform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89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기억용이성은 자극이 얼마나 잘 기억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자극의 지각적, 의미적 특성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자극 고유의 특성이다. 기존의 기억용이성 연구는 주로 단독으로 제시된 자극을 얼마나 잘 기억할 수 있는가를 측정했다. 그러나 단일 자극만 제시하는 연구로는 다수의 자극이 동시에 나타나는 현실 세계의 시각 정보 처리 과정 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자극이 동시에 제시되었을 때 자극의 기억용이성 수준에 따라 기억 과제 수행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봤다. 참가자들은 기억용이성이 높거나 낮은 방해자극과 동시에 제시된 목표자극을 기억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실험 결과, 목표자극의 기억용이성이 높았을 때 기억 수행이 향상되 었으나, 목표자극의 기억용이성 효과는 동시에 제시된 방해자극의 기억용이성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기억용이성을 가진 자극이 자동적으로 상향적 주의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Memorability is an indicator of how well a stimulus can be remembered. Studies on memorability have shown that stimulus memorability cannot be explained by the perceptual and semantic properties of a stimulus, suggesting that memorability is an intrinsic property of a stimulus. Though real-world scenes almost always contain multiple objects, previous studies on memorability have mainly tested memory performance using a single stimulus. In the curr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multiple stimuli with different levels of memorability interact with each oth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member a high or low memorability target presented with a high or low memorability distractor in the encoding block. Participants’ memory accuracy was measured by a sensitivity index in the testing block. Results showed that a high memorability target was easier to remember. However, the distractor memorability level did not modulate this target memorability effect. The current results support previous studies that showed a highly memorable stimulus does not automatically induce bottom-up attentional shift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실험 1
    2.1. 연구방법
    2.2. 연구 결과
3. 실험 2
    3.1. 연구방법
    3.2. 연구 결과
4. 종합논의
REFERENCES
저자
  • 정수근(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 Su Keun Jeo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