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누가 혼자 있을 때 외로운가? 홀로 있음, 권력감과 외로움의 관계 KCI 등재

Who is Lonely While Being Alo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tude, a Sense of Power, and Lonelin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일반적으로 혼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경향이 나타난다. 그러나 홀로 있을 때, 즉 사회적 으로 고립되었을 때 외로움을 경험하는지 여부는 사람마다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홀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람 중, 누가 외로움을 경험하는지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권력감(sense of power)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 1은 대규모 설문 조사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 시간이 적은 사람들의 외로움을 예측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판별분석 결과, 권력 감이 사회적 활동 시간이 적은 사람들을 높은 외로움과 낮은 외로움 집단으로 판별하는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연구 2는 실험을 통해 권력감의 수준을 조작하여 높은 권력감과 낮은 권력감 집단으로 나누었다. 이후 홀로 있음을 점화한 뒤, 외로움과 소속감 상실의 여부가 권력감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권력감이 높으면 사회적 외 로움을 적게 경험하고 소속감 상실이 완충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현대 사회는 일인 가정이 많아지고 코로나로 인해 사회적 만남이 제한됨으로써 외로움에 취약한 환경에 처한 개인이 전례 없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 상황에 서 외로움 완화의 요인으로써 상황의 변화보다는 개인의 내적 심리적 측면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eople who spend more time alone tend to report higher levels of loneliness. However, whether people experience loneliness in solitude can differ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role of a sense of power as a predictor of loneliness among people who lack social interaction. investigated factors predicting loneliness in people with little social time large-scale survey data. As a result of discriminant analysis, a sense of power was verified as a factor that lonely non-lonely groups. a sense of power As a resul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power and social loneliness was confirmed. When people feel alone, a high sense of power can work as a buffer against loss of belongingness and the experience of social loneliness. This research focused on psychological rather than situational factors to alleviate lonelines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social encounters are limited due to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19 pandemic.

목차
Abstrac
요 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홀로 있음과 외로움
    2.2. 권력과 외로움의 관계
    2.3. 사회적 외로움
    2.4. 본 연구
3. 연구 1
    3.1. 방법
    3.2. 결과
    3.3. 논의
4. 연구 2
    4.1. 방법
    4.2. 결과
    4.3. 논의
5. 종합 논의
    5.1. 결과 요약 및 의의
    5.2. 한계와 향후 연구제안
6. 결론
REFERENCES
저자
  • 임낭연(경성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 | Nangyeon Lim
  • 서은국(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Eunkook M Su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