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VID-19 전ㆍ후의 한강공원 이용행태 변화 분석 - 뚝섬ㆍ여의도ㆍ잠실 한강공원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Changes in Hangang Park Usage Behavior Before and After COVID-19 - Focusing on Ttukseom, Yeouido, and Jamsil Hangang Park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COVID-19전·후의 도시공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COVID-19와 공원이용행태는 접근성이라는 물리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COVID-19 이전의 공원이용행태는 다양한 행태가 나타났지만, COVID-19 이후에는 행태의 종류가 줄어들고 공원 이용의 제한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표현이 나타나 공원이용 제약이 시민들의 여가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21년에는 COVID-19 이전과 같이 적극적인 활동을 수반하는 행태는 나타나지 않지만 드라이브, 차박 등 제약적인 환경을 개선하여 공원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이용행태가 나타나며 점점 적극적인 활동을 수반하는 행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 이전에는 별다른 제약 없이 공원을 이용하던 시민들에게 어떠한 행태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 COVID-19 감염의 확산을 완화하기 위한 제약에 어떠한 방법으로 공원을 이용하는지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등을 실시하여 질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도시민들에게 공원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공간인지, 장기화되는 COVID-19 시대에 공원이 필요로 하는 요구가 무엇인지 심도있게 탐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usage behavior of urban parks before and after COVID-19 by using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physical factor of accessibility has a great influence on COVID-19 and park use behavior. Next, park use behavior before COVID-19 showed various behaviors, but after COVID-19, the type of behavior decreased and negative psychological expression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caused by restrictions on park use appeared, indicating that park use restrictions have a great influence on citizens'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in 2021, there is no behavior that involves active activities as before COVID-19, but new usage behaviors that can use the park by improving the constrained environment such as driving and car camping appear, and more and more active activities appear. The study is meaningful to find out what behavioral changes are occurring for citizens who used the park without any restrictions before COVID-19, and how the park is used for restrictions to alleviate the spread of COVID-19 infections, such as social distancing.If qualitative research is condu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park users in the future, it will help them in-depth explore what meaning parks have for urban residents and what needs parks in the prolonged COVID-19 era.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한강공원 관리 현황
    2.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빈도분석
    4.2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4.3 이미지 분석
    4.4 네트워크 유의적 검정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우경숙(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Kyungsook Woo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서주환(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Joohwan Suh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