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한 조경시공 연구경향 분석 KCI 등재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Landscape Construction Using Text-mining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1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198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조경 시공 분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핵심 단어 분석 프로그램인 VOSviewer를 이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연구논문은 총 226편이며, 연평균 5.8편이 발표되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조경학 관련 학회 수의 증가 및 다양화, 조경 산업 확대에 따른 조경 시공, 공법, 재료 등의 연구 기회와 필요성 증가 등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동시 출현 빈도가 높은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Plant, Management, Improvement, Specie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관성이 높은 핵심 단어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사후관리, 기능개선’, ‘식생, 생육환경’, ‘공간, 이용성’, ‘시공성, 경제성’ 등 4개 주제로 연구 영역이 분류되었다. 셋째, ‘조경 시공’과 관련된 주요 연구영역별로 시간의 흐름에 기반하여 연구 경향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대 변화에 따라 점차 다양한 주제를 포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도록 첨단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조경 시공·유지관리 기술 및 기후변화를 고려한 소재, 공법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경 시공 분야에 대해 국내에서 최초로 빅데이터 기반의 서지 분석을 통해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조경 산업의 사회적 패러다임과 기술 트랜드 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조경 시공 분야의 발전적인 연구방향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riv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from various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80 to 2022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through VOSviewer, the big data analysis program, and focused on keywords for landscape construction. As a result, first, a total of 226 research papers related to landscape construction showed a gradual increase by an average annual average of 5.8. This is caused by the increase landscaping-related various academic journals since the 1980s, and the increase in research opportunities on landscape construction, methods of construction, and material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landscape industr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occurrence keywords related to landscape constructio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Plant, Management, Improvement, Species, etc. In addition,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research clusters: (1) Post-management and Function improvement, (2) Plant and Plant growth environment, (3) Space and Usability, and (4)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eld of landscape construction based on the passage of time, the research trend of the field of landscape construction tends to embrace various topics. However, in the future, research on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mart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considering climate change, will be more necessa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in detail through bibliographic analysi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as fundamental data for deriving the developmental research direction in the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paradigm and technological trends changing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dustr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자료 수집
    2.2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연구 동향
    3.2 텍스트 마이닝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석영선(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Youngsun Seok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반권수(한국수자원공사 물환경개선처) | Gwon-Soo Bahn (Wate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pt., K-wate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