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블릿 기반 인지평가를 활용한 발달장애와 정상발달 아동의 인지기능 프로파일 비교 연구 KCI 등재

Comparison of Cognitive Function Profil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ypical Development Using Table-Based Cognitive Evalu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2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를 통해 세부 인지기능의 프로파일 을 비교함으로써 본 평가가 진단그룹에 따른 인지기능 상태를 평가하는데 변별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80명의 만 4~12세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진단명별로 자폐 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24명,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 ID) 20명,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 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7명, 정상발달 아동 29명이 참여하였다. 태블릿으로 개발된 인지평가는 총 8개 항목으로 공간작업기억, 작업기억용량, 시각적 작업기억, 시지각 처리기술, 집행기능(계획), 집행기능(반응억제 및 주의력), 집행기능(억제)의 세부 인지항목으로 구성되 어 있다. 평가를 시행한 후 진단그룹에 따른 차이를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통계분석 은 Jamovi 1.6.23 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지적장애, ADHD 아동의 인지평가 총점이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χ²= 22.41, p < .001).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시각 처리기술 및 억제기능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였고, 지적장애 아동은 작업기억 용량, 시각적 작업기억과 반응억제 및 주의력 항목에서 유의미한 기능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 아동의 경우 정상발달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지평가 항목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태블릿 기반의 인지평가는 정상발달 아동과 발달장애 아동의 인지기능의 상태 를 변별함으로써 치료의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ablet-based cognitive evalu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compare the profile of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groups.
Methods: A total of 80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24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20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ID, 7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29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 tablet-based cognitive evaluation wa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8 items according to the cognitive domains. Kruskal-Wallis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mea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Jamovi 1.6.23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total scores of the children among the diagnos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hildren with TD (x2 = 22.41, p < .001). The children with ASD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visual global and local processing and inhibition. In addition, children with ID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working memory span, visual working memory, and reaction inhibition and attention. By contrast, in children with ADHD, there were no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children with TD.
Conclusion: The tablet-based cognitive evalu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useful in differentiating the cognitive functions between children with TD and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기간 및 절차
    3. 연구도구
    4.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진단명별 각 항목 평균점수 비교
    3. 총점 사후검정
    4. 세부항목 점수 사후검정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주유미(동국대학교 교육서비스과학대학원 인간발달재활전공 연구초빙교수) | Ju Yumi (Human Development and Rehabili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rvices Sciences, Dongguk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 박세영(태안군 인공지능융합산업진흥원, 건강On새롬 스마트헬스케어센터 작업치료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 | Park Se-Young (Taean AI Industry Promotion Agency, Health On-Saerom Smart Health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 /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Master’s Course)
  • 유제광(동국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조교수) | Ryu Jeh-Kwang (Dept. of Physical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 정진욱(동국대학교 예술대학 스포츠문화학과 조교수) | Chung Jin-Wook (Dept. of Sports Culture, College of the Arts, Dongguk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