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d the conceptual structure used by earth science teachers to classify metamorphic rocks as well as the criteria applie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metamorphic rock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llected verbal data uttere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metamorphic rock using think-aloud from 21 earth science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llabuk-do, Republic of Korea. The collected verba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metamorphic rocks, earth science teachers classifi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compositional minerals, and particle size, which can be generally observed in rocks, and foliation that appears in metamorphic rocks. Second, earth science teachers recogniz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metamorphic rocks and focus on metamorphism such as contact metamorphism or regional metamorphism. However, there were cases where rocks were mistakenly classified through incorrect identifi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observational information about, and experience of, metamorphic rocks to enable earth science teachers to recognize and relate to the scientific process of identifying metamorphic rocks through the phenomena observed.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교사들이 변성암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 구조와 변성암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전라북도 소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지구과학교사 21명을 대상으로 사 고 구술을 활용하여 변성암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진술한 언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수집된 언어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교사들은 변성암을 분류하는 과정 에서 암석에서 일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색, 구성 광물, 입자의 크기 등의 특징과 변성암에서 나타나는 엽리를 중심 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지구과학 교사들은 변성암의 분류 기준에 관해 접촉 변성작용과 광역 변성작용 등 변성작용을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관찰한 내용을 잘못 판단하여 다른 암석으로 오인하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구과학 교사들이 변성암이 형성되는 과학적 과정과 변성암에서 관찰되는 현상을 서로 연결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그 들에게 변성암에 대한 관찰 정보와 경험을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